기타 민사사건
교통사고로 차량이 파손되어 수리하는 동안 렌터카를 이용한 피해 차량 소유자가 렌터카 업체에 대차료 청구 권한을 위임했습니다. 렌터카 업체는 가해 차량의 보험사에 미지급된 대차료를 청구했으나, 보험사는 채권 양도가 소송을 주목적으로 한 소송신탁이므로 무효라고 주장하며 대차의 필요성이나 대차료 산정 방식에 대해서도 이의를 제기했습니다. 법원은 보험사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렌터카 업체가 적법하게 채권을 양도받았으며 미지급 대차료를 지급받을 권리가 있다고 판단하여 보험사의 항소를 기각했습니다.
2022년 1월 31일, 가해 차량이 Q의 BMW630 GT 차량을 충격하는 교통사고가 발생했습니다. Q의 차량이 수리를 위해 입고되자, Q는 2022년 1월 31일부터 2월 24일까지 총 24일 6시간 동안 주식회사 A렌트카로부터 벤츠 AMG GT 43 차량을 대차했습니다. 당시 1일 대차료는 379,400원으로 정해졌습니다. Q는 A렌트카에게 차량대여계약서를 작성해주면서 대차비용 청구 및 수령에 대한 모든 권한을 A렌트카에 위임했습니다. 이에 A렌트카는 가해 차량의 보험사인 D보험 주식회사에 총 9,371,600원의 대차료를 청구했으나, D보험은 4,405,800원만 지급하고 나머지 4,965,800원의 지급을 거부했습니다. 이에 A렌트카는 미지급 대차료를 받기 위해 D보험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고, D보험은 A렌트카의 채권 양도가 '소송신탁'으로 무효라고 주장하며 대차의 필요성이나 대차료 산정 방식에도 이의를 제기했습니다.
법원은 피고(D보험 주식회사)의 항소를 기각하고, 항소심에서 발생한 비용 또한 피고가 부담하도록 판결했습니다. 이는 제1심 판결과 마찬가지로 피고가 원고에게 미지급된 렌트카 대차료 4,965,800원과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결론을 유지한 것입니다.
법원은 렌트카 업체가 교통사고 피해자로부터 대차료 채권을 적법하게 양도받았다고 보았고, 보험사가 주장하는 '소송신탁'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대차의 필요성이나 대차료 산정 방식에 대한 보험사의 이의 제기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가해 차량의 보험사는 렌트카 업체에 미지급된 대차료와 지연손해금을 지급해야 한다고 확정되었습니다. 이 판결은 교통사고 피해자가 렌트카를 이용하고 그 비용 청구 권한을 렌트카 업체에 위임하는 경우, 보험사가 합리적인 근거 없이 대차료 지급을 거부하기 어렵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대전지방법원 2023
서울남부지방법원 2022
서울중앙지방법원 2021
대구고등법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