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민사사건
원고 주식회사 A건설은 피고 D에 대해 공정증서에 기한 채무가 없음을 확인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하고, 피고 E에게는 법률상 원인 없이 송금된 9,450만 9천원을 부당이득으로 반환해달라고 청구했습니다. 법원은 피고 D에 대한 소송은 이미 진행 중인 별도의 소송(청구이의의 소)에서 다투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보아 각하했습니다. 또한 피고 E에 대한 부당이득 반환 청구는 원고가 송금된 돈에 대한 법률상 원인이 없음을 충분히 증명하지 못했고, 오히려 급여나 구상금 변제일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하여 기각했습니다.
주식회사 A건설(이전 상호 주식회사 B)은 2018년 설립된 회사로, 초기에는 N이라는 인물이 친인척 명의로 실제 운영을 해왔습니다. 피고 E는 N의 조카이자 원고 회사와 다른 계열사에서 '전무'로 근무했습니다. 2020년, I이 A건설의 경영권을 인수하면서 기존 경영진과 관련된 재정적 문제들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분쟁이 발생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원고 A건설은 피고 D가 공정증서를 집행권원으로 하여 원고의 재산에 압류명령을 받자, 해당 채무가 통정허위표시에 의한 것이어서 무효라며 채무부존재확인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또한 원고는 피고 E에게 송금된 9,450만 9천원이 법률상 원인 없이 지급된 부당이득이라며 반환을 청구했습니다. 피고 E는 과거 원고 회사에서 근무하며 업무를 수행했고, 굴삭기를 매수하는 등 자신의 비용을 사용하기도 했으므로, 해당 금원은 급여나 구상금 변제 목적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원고 측은 피고 E를 횡령 혐의로 고소했으나, 경찰에서 '혐의 없음' 불송치 결정이 내려지기도 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두 가지였습니다. 첫째, 피고 D에 대한 채무부존재확인 소송이 이미 공정증서의 집행력 배제를 목적으로 하는 청구이의의 소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별도로 제기된 채무부존재확인 소송으로서 법률상 '확인의 이익'이 있는지 여부입니다. 둘째, 피고 E에게 송금된 9,450만 9천원이 법률상 원인 없는 부당이득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부당이득 반환을 주장하는 원고가 그 법률상 원인이 없음을 충분히 증명했는지 여부입니다.
결론적으로 법원은 피고 D에 대한 채무부존재확인 소송은 절차상 부적법하다는 이유로 각하하고, 피고 E에 대한 부당이득 반환 청구는 원고의 증명 부족으로 기각하여, 원고의 청구를 모두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서울중앙지방법원 2022
부산지방법원 2023
서울중앙지방법원 2022
전주지방법원군산지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