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민사사건
원고들은 피고 소유 토지에 공동주택 개발을 위한 공동사업계약을 체결했으나 피고가 계약 해제를 통보했습니다. 이후 원고들과 피고는 계약 해제에 합의하고 피고가 원고들의 지출 비용 일부로 3,000만 원을 지급했습니다. 원고들은 피고의 계약 해제로 인해 시공계약, 분양대행계약, 설계계약 등을 해제하게 되어 총 1억 8,000만 원의 손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며 기지급 3,000만 원을 제외한 1억 5,000만 원 및 지연손해금 지급을 청구했습니다. 법원은 원고들이 주장하는 시공계약, 분양대행계약, 설계계약 관련 손해에 대해 증거 부족으로 인정하지 않아 원고들의 청구를 모두 기각했습니다.
원고들은 피고 소유의 부동산에 공동주택을 개발하기 위해 지주공동사업계약을 2016년 11월 18일 체결했습니다. 하지만 피고는 2017년 1월 17일 계약 해제를 요구하는 내용증명을 발송했습니다. 이후 2017년 8월 9일, 피고는 원고들과 공동사업계약을 해제하되 원고들이 지출한 비용 보전 명목으로 3,000만 원을 지급하기로 합의하고 당일 송금했습니다. 그러나 원고들은 피고의 계약 해제로 인해 주식회사 E, 주식회사 F과의 시공계약, 주식회사 G와의 분양대행 및 PM용역계약, H과의 설계계약이 모두 해제되면서 총 1억 8천만 원의 손해를 입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손해액 중 피고가 이미 지급한 3천만 원을 제외한 1억 5천만 원과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피고에게 청구했습니다. 원고들은 시공계약 관련 약정금의 두 배, 분양대행계약 및 설계계약 관련 계약금 몰취 등을 손해액으로 주장했으나, 법원은 증거 불충분으로 이를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이 사건의 주된 쟁점은 피고의 공동사업계약 해제로 인해 원고들이 주장하는 시공 계약, 분양대행 계약, 설계 계약 관련 손해배상 책임이 인정되는지 여부입니다. 특히 원고들이 주장하는 계약금 및 위약금 지급 사실이 증거로 입증되는지 여부가 중요하게 다루어졌습니다.
법원은 원고들의 피고에 대한 청구를 모두 기각했습니다. 원고들이 주장하는 시공계약, 분양대행계약, 설계계약과 관련된 손해 발생 사실을 인정할 만한 증거가 부족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소송 비용은 원고들이 부담하게 되었습니다.
공동주택 개발 사업 계약 해제에 따른 손해배상을 청구한 원고들의 주장은 법원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원고들이 주장한 각 계약 관련 손해 발생에 대한 증거가 불충분하여 법원은 원고들의 청구를 기각하고 소송 비용을 원고들에게 부담시켰습니다.
이 사건과 관련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문제 상황에 처했을 때 다음과 같은 점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대구지방법원 2022
서울중앙지방법원 2022
서울중앙지방법원 2020
서울북부지방법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