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민사사건
원고 B는 약 15~20년 전 지인의 대출로 발생한 채무 때문에 신용불량 상태에 빠졌고, 2020년에 파산 및 면책 결정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채권자 목록에 피고 A대부 유한회사의 채권이 누락되었고, 피고는 2016년 양수금 청구 이행권고결정을 근거로 2023년 원고에게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을 신청했습니다. 원고는 피고의 강제집행이 자신의 면책 결정 효력에 반한다며 청구이의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은 원고가 채권자 목록에서 피고를 고의로 누락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피고의 강제집행을 불허했습니다.
원고 B는 약 15~20년 전 지인에게 인감증명서와 도장을 맡겨 발생한 대출 채무를 감당하지 못하여 신용불량 상태가 되었고, 결국 2020년 5월 20일 서울회생법원에서 파산 및 면책 신청을 하여 2020년 9월 23일 면책 결정을 받았습니다. 파산 신청 당시 원고는 오래된 채권이라 채권자를 명확히 기억하지 못해 신용정보 조회를 통해 채권자 목록을 작성했으나, 피고 A대부 유한회사는 목록에서 누락되었습니다. 피고는 원고를 상대로 2016년 10월 11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양수금 청구 소송을 제기하여 2016년 11월 2일 이행권고결정을 받았습니다. 이 결정은 2017년 1월 7일 원고의 모친이 송달받아 2017년 1월 24일 확정되었습니다. 이후 피고는 이 이행권고결정을 집행권원으로 삼아 2023년 9월 18일 원고의 채권에 대해 압류 및 추심명령을 신청했습니다. 이에 원고는 자신의 파산 면책 결정이 피고의 채권에도 적용되어 강제집행이 부당하다고 주장하며 법원에 청구이의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파산 절차에서 채권자 목록에 특정 채권자가 누락되었을 경우, 그 채무가 면책 결정의 효력에 포함되는지 여부, 특히 채무자가 고의로 채권자를 누락하지 않았을 경우 면책 효력이 유지되는지 여부입니다.
피고 A대부 유한회사가 원고 B에 대해 서울중앙지방법원 2016가소6694546 양수금 사건의 2016년 11월 2일자 이행권고결정에 근거하여 진행하려는 강제집행을 불허합니다.
법원은 원고 B가 파산 신청 시 피고 A대부 유한회사를 채권자 목록에서 고의로 누락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원고의 파산 면책 결정의 효력이 피고의 채권에도 미친다고 보았고, 면책된 채무에 대한 피고의 강제집행 시도는 허용되지 않는다고 최종 결정했습니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66조(면책허가결정의 효력) 이 조항은 면책 결정의 효력이 미치지 않는 예외적인 경우들을 규정하고 있으며, 특히 제7호는 '채무자가 악의로 채권자목록에 기재하지 아니한 청구권'에 대해서는 면책 효력이 미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 법원은 원고가 채권자 목록에서 피고를 누락한 것이 오래된 채무로 인한 기억의 한계와 신용정보 조회에도 불구하고 발견하지 못한 '비고의적' 누락으로 보았습니다. 따라서 원고의 행위가 제566조 제7호에서 말하는 '악의'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면책 결정의 효력이 피고의 채권에도 미친다고 보았습니다.
민사집행법 제44조(청구이의의 소) 이 조항은 채무자가 판결에 따라 확정된 청구(이 사건의 이행권고결정)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소송을 규정합니다. 원고 B는 파산 면책 결정을 근거로 해당 채무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음을 주장하며 청구이의 소송을 제기하였고, 이를 통해 피고의 강제집행을 저지할 수 있었습니다.
파산 및 면책을 신청할 때는 모든 채권자를 최대한 성실하게 조사하여 채권자 목록에 기재해야 합니다. 신용정보 조회 등을 활용하여 오래되거나 잊힌 채권자가 없는지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만약 채권자 목록에서 특정 채권자가 누락되었더라도, 그 누락이 고의적인 것이 아니었음을 증명할 수 있다면 면책의 효력이 해당 채권에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채권자를 찾기 위해 노력했던 증거(예: 신용정보 조회 내역)를 제시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파산 면책 결정 후에도 이전에 받은 이행권고결정 등을 근거로 강제집행이 들어올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면책 결정의 효력을 주장하며 '청구이의 소송'을 제기하여 강제집행을 막을 수 있습니다. 오래된 채무는 채권자가 여러 차례 바뀌거나 원리금이 불어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채무 발생 시점과 현재 채권자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EA%B3%A0%ED%99%94%EC%A7%88.jpg&w=256&q=100)
서울중앙지방법원 2021
서울중앙지방법원 2020
서울고등법원 2023
수원지방법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