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민사사건
피고가 원고에게 소송비용 확정 결정에 따라 강제집행을 진행하여 채권을 모두 출급하였으나 압류 해제를 지연하자, 원고가 강제집행 불허 및 소송비용 부담을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그러나 강제집행이 이미 종료되어 본안 소송의 이익이 없다고 판단되었고, 원고가 제1심 판결의 소송비용 부분에 한하여 항소하자 법원은 민사소송법에 따라 소송비용 재판에 대한 독립 항소는 허용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항소를 각하했습니다.
피고 B는 원고 A에 대해 소송비용액 확정 결정을 받았고, 이를 근거로 원고 A의 예금채권에 대한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을 신청하여 강제집행을 진행했습니다. 원고 A는 피고 B가 집행채권을 모두 출급했음에도 예금채권에 대한 압류를 해제하지 않아, 어쩔 수 없이 소송을 제기한 후에야 비로소 피고 B가 압류를 해제했으므로, 제1심의 소송비용은 피고 B가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원고 A는 피고 B의 소송비용액 확정 결정에 기한 강제집행을 불허해달라고 청구했으나, 제1심 법원은 이미 강제집행이 종료되어 강제집행 불허를 구할 이익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원고 A는 제1심 판결 중 소송비용 부분에 한하여 불복하며 항소를 제기했습니다.
소송비용에 대한 재판에 대해서만 독립적으로 항소를 제기할 수 있는지 여부 및 강제집행 종료 후 제기된 소송에서 소송비용 패소자 부담 원칙의 예외를 인정할 사정이 있는지 여부.
원고의 항소를 각하하고 항소 비용은 원고가 부담하도록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소송비용에 관한 재판에 대하여는 독립하여 항소할 수 없다는 민사소송법 규정을 근거로 들었습니다.
항소심 법원은 원고가 제1심 판결의 본안에 대한 불복 없이 오직 소송비용 부분에 대해서만 항소한 것은 법률상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원고의 항소를 각하했습니다. 이에 따라 제1심 판결의 내용과 소송비용 부담 역시 그대로 유지됩니다.
이 사건 판결은 주로 다음 민사소송법 조항들을 근거로 합니다.
이 사건과 유사하게 소송비용 재판에 불복하려는 경우, 다음 사항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창원지방법원진주지원 2024
대법원 2017
서울남부지방법원 2022
수원고등법원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