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민사사건
피고인 A가 D를 상대로 사문서위조 등의 거짓 고소를 하였으나, 항소심에서 자신의 무고 범행을 자백하여 형법상 무고죄 자백 시 필요적 감경 규정이 적용되어 형이 감경된 사건입니다. 원심에서는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사회봉사 80시간이 선고되었으나, 항소심에서 징역 6개월 집행유예 2년, 사회봉사 80시간으로 감경되었습니다.
피고인 A는 피해자 D가 사문서를 위조했다고 허위로 고소했습니다. 이로 인해 A는 무고죄로 기소되었고, D는 불기소 처분을 받았습니다. 피고인 A는 1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고 형을 선고받자, 형이 너무 무겁다며 항소했습니다. 항소심 과정에서 피고인 A는 자신이 D를 거짓 고소한 사실을 자백했습니다.
무고죄로 기소된 피고인이 항소심에서 범행을 자백한 경우, 형법상 무고죄 자백에 대한 필요적 감경 규정을 적용하여 형을 감경할 수 있는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특히 '재판 확정 전' 자백의 범위에 불기소처분으로 재판이 개시되지 않은 경우도 포함되는지가 중요하게 다루어졌습니다.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피고인에게 징역 6개월을 선고하되, 이 판결 확정일부터 2년간 형의 집행을 유예하며, 80시간의 사회봉사를 명한다.
항소심 재판부는 피고인이 항소심에서 자신의 무고 범행을 자백한 점, 그리고 피고인이 무고한 사건의 피해자 D가 불기소처분을 받아 재판 절차가 시작되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형법 제157조 및 제153조에서 정하는 무고죄 자백에 따른 필요적 감경 사유가 발생했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원심의 형이 너무 무겁다는 피고인의 항소 이유를 판단하기에 앞서 직권으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법률상 감경을 적용하여 형을 다시 정했습니다.
형법 제156조 (무고죄): 타인으로 하여금 형사처분 또는 징계처분을 받게 할 목적으로 공무소 또는 공무원에 대하여 허위의 사실을 신고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 A는 D가 사문서를 위조했다고 허위 사실을 신고하여 무고죄로 기소되었습니다.
형법 제157조, 제153조 (무고죄 자백 자수 감경 면제): 무고죄를 범한 자가 그 신고한 사건의 재판 또는 징계처분이 확정되기 전에 자백 또는 자수한 때에는 그 형을 감경 또는 면제한다. 이는 무고죄로 인해 왜곡될 수 있는 국가의 사법 기능을 조기에 정상화하고, 억울한 피해자의 구제를 도모하기 위한 규정입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 A는 항소심에 이르러 자신의 무고 범행을 자백했습니다. 재판부는 A가 무고한 D의 사건이 불기소처분으로 재판이 개시되지 않았으므로 '재판이 확정되기 전'에 해당한다고 보아, 위 법조항에 따라 피고인의 형을 반드시 감경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형법 제62조 제1항 (집행유예):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금고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의 형을 선고할 경우에 제51조의 사항을 참작하여 그 정상에 참작할 만한 사유가 있는 때에는 1년 이상 5년 이하의 기간 형의 집행을 유예할 수 있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은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이 선고되었으며, 이는 피고인이 당심에서 자백하고 반성한 점, 피무고자가 기소되지 않은 점 등 양형 사유가 고려된 결과입니다.
형법 제62조의2 (사회봉사명령 등): 집행유예를 선고하는 경우 보호관찰을 받을 것을 명하거나 사회봉사 또는 수강을 명할 수 있다. 피고인은 집행유예와 함께 80시간의 사회봉사 명령을 받았습니다.
거짓으로 타인을 고소하면 '무고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무고죄는 국가의 수사 및 사법 기능을 방해하고, 억울한 사람을 만들 수 있는 중대한 범죄입니다.
만약 본인이 거짓 고소를 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면, 해당 사건의 재판 또는 징계처분이 확정되기 전에 자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재판이 진행 중인 법원이나 수사기관에 자신의 허위 고소 사실을 고백할 경우, 형법 제157조와 제153조에 따라 형을 반드시 감경받거나 면제받을 수 있는 기회가 생깁니다.
여기서 '재판이 확정되기 전'이란 고소당한 사람이 불기소 처분을 받아 재판이 실제로 시작되지 않은 경우도 포함됩니다. 즉, 고소당한 사람이 아직 재판을 받지 않았거나 재판이 진행 중인 상황이라면 자백을 통해 선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 A는 항소심에서 자백하여 원심보다 감경된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2년, 사회봉사 80시간을 선고받았습니다. 이는 자백이 형벌 감경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서울중앙지방법원 2020
서울북부지방법원 2023
수원지방법원여주지원 2022
창원지방법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