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민사사건 · 병역/군법
피고인 A는 2020년 7월 19일 다크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B'라는 판매자로부터 대마 약 1g을 20만 원 상당의 비트코인을 지불하고 매수했습니다. 매수한 대마는 부천시의 한 공원 입구 옆 풀숲에 숨겨져 있었고, A는 이를 가져갔습니다. 같은 날 20시경 A는 청주시의 한 공원에서 매수한 대마를 빈 플라스틱 커피통의 은박지 뚜껑 위에 올려 불을 붙인 뒤 빨대를 이용해 연기를 흡입하는 방법으로 대마를 흡연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 A에게 징역 8월을 선고하고, 이 형의 집행을 2년간 유예하며, 20만 원을 추징하는 명령을 내렸습니다.
피고인 A가 다크웹을 통해 대마를 적극적으로 구매하고 흡연하여,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을 위반함으로써 사법당국의 수사 대상이 되었고 결국 재판에 회부되었습니다. 특히 다크웹과 비트코인을 이용한 거래는 익명성을 보장받으려 시도했으나 결국 적발되어 처벌받게 된 사례입니다.
다크웹을 통한 대마 매매 및 흡연 행위의 처벌, 가상화폐를 이용한 마약 거래,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에 따른 양형 기준 및 집행유예 조건
피고인 A에게 징역 8월을 선고하고, 이 판결 확정일로부터 2년간 위 형의 집행을 유예한다. 피고인으로부터 20만 원을 추징하며, 위 추징금 상당액의 가납을 명한다.
재판부는 피고인이 다크웹을 이용해 대마를 매수하고 흡연한 행위가 죄질이 좋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마약 범죄는 적발이 어렵고 재범의 위험성이 높으며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크다고 보았습니다. 다만, 피고인이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있고 2015년 이종 범죄로 벌금형을 한 차례 선고받은 것 외에 다른 형사처벌 전력이 없는 점, 그리고 스스로 흡연할 목적으로 대마를 매수했으며 제3자에게 유통시키지는 않은 점 등을 참작하여 징역형의 집행을 유예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피고인의 나이, 성행, 가족관계, 환경, 범행 경위 및 수단, 결과, 범행 후의 정황 등 제반 양형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종 형량을 정했습니다.
이 사건은 여러 법률 조항이 적용되어 피고인의 행위를 규정하고 처벌했습니다.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제59조 제1항 제7호 및 제3조 제7호: 이 조항은 대마를 수출입, 제조, 매매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피고인 A가 다크웹을 통해 대마를 구매한 행위는 바로 이 '대마 매매'에 해당하여 처벌 대상이 되었습니다.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제61조 제1항 제4호 가목 및 제3조 제10호 가목: 이 조항은 대마 또는 대마초 종자의 껍질을 흡연, 섭취하는 행위를 금지합니다. 피고인 A가 매수한 대마를 공원에서 흡연한 행위는 이 조항에 따라 처벌되었습니다.
형법 제37조 전단, 제38조 제1항 제2호, 제50조 (경합범 가중): 피고인 A는 대마 매수와 대마 흡연이라는 두 가지 범죄를 저질렀습니다. 형법상 '경합범'은 여러 죄를 동시에 저지른 경우를 말하며, 이 경우 가장 중한 죄에 정해진 형의 장기(가장 긴 기간)를 2분의 1까지 가중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형이 더 무거운 대마 매매죄에 따라 형량이 가중되었습니다.
형법 제53조, 제55조 제1항 제3호 (작량감경): 법원이 피고인의 여러 유리한 정상을 참작하여 법정형보다 형을 감경하는 것을 '작량감경'이라고 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피고인이 잘못을 뉘우치고 과거 전력이 적다는 점 등이 유리한 정상으로 고려되어 형이 감경될 수 있었습니다.
형법 제62조 제1항 (집행유예): 집행유예는 유죄를 선고하면서도 일정 기간 동안 형의 집행을 유예하여 그 기간 동안 죄를 저지르지 않으면 형 선고의 효력을 상실시키는 제도입니다. 피고인이 반성하고 재범 우려가 낮다고 판단될 때 선고되며, 이 사건에서도 피고인의 유리한 정상들이 거듭 참작되어 집행유예가 선고되었습니다.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제67조 단서 (추징): 마약류 범죄로 인해 취득한 재산은 몰수하거나 그 가액을 추징할 수 있습니다. 피고인이 대마 매수에 사용한 20만 원 상당의 비트코인은 범죄로 인한 수익으로 간주되어 추징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형사소송법 제334조 제1항 (가납명령): 가납명령은 판결이 확정되기 전이라도 추징금을 미리 납부하도록 명하는 것입니다. 이는 추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절차입니다.
대한민국은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이 매우 엄격하여 대마 매매, 흡연, 소지 등 어떠한 형태의 대마 관련 행위도 중하게 처벌합니다. 인터넷, 특히 '다크웹'과 같은 익명성이 보장된다고 알려진 공간에서의 거래나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화폐를 이용한 거래도 수사기관의 추적을 완전히 피하기 어렵습니다. 소량이라 하더라도 대마를 매수하거나 흡연하는 행위는 단순한 개인 일탈로 간주되지 않고 마약류 관련 범죄로 처벌받게 되며, 초범이라 할지라도 실형을 포함한 중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구매한 대마를 제3자에게 유통하지 않고 스스로 흡연할 목적으로 매수한 경우라도 법적으로는 심각한 위법 행위로 간주됩니다. 해외에서 대마가 합법화된 국가에서 경험했더라도 국내에서는 처벌 대상이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수원지방법원평택지원 2018
춘천지방법원 2019
대전지방법원천안지원 2019
서울서부지방법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