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민사사건
이 사건은 원고 A가 특정 주식의 주주임을 확인해달라는 본소와 피고 B가 주식회사 G이 해당 주식의 진정한 주주임을 확인하거나 원고 A가 주주가 아님을 확인해달라는 반소로 시작되었습니다. 1심 법원은 원고 A의 주주 지위를 인정하고 피고 B의 주장을 기각했습니다. 항소심 법원은 1심 판결과 같이 원고 A가 주주임을 인정하고 피고 B의 항소를 기각했습니다. 또한 피고 B가 제기한 반소는 확인의 이익이 없어 부적법하다고 판단하여 각하했습니다.
원고 A는 자신이 주식회사 D의 주식 39,600주의 주주임을 주장하며, 피고 B는 원고 A가 이 주식의 진정한 주주가 아니며 E을 통해 명의신탁된 주식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특히 피고 B는 2007년 11월 9일 G 명의의 K은행 계좌로 입금된 2억 5천만 원이 주식 매매대금이라고 주장했으나, 법원은 이를 E이 원고 A의 사위에게 빌려준 돈의 일부라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원고 A가 2008년부터 2012년까지 E, V, C의 어머니 W 등에게 지급한 총 3억 1,500만 원에 대해서 피고 B는 원고 A의 사업을 도운 것에 대한 사례금 내지 수익금이라고 주장했으나, 법원은 이를 E에 대한 대여금 채무의 변제라고 판단했습니다. 이러한 주식 소유권 다툼은 관련 형사사건(소송사기 혐의)에서도 다루어졌으며, 검사는 원고 A에게 불기소(혐의없음) 결정을 내린 바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피고 B는 G이 진정한 주주임을 확인하거나 원고 A가 주주가 아님을 확인하는 반소를 제기했습니다.
원고 A가 별지 목록 1 기재 주식의 실제 주주인지 여부. 피고 B가 제기한 반소, 즉 G이 주주임을 확인하거나 원고 A가 주주가 아님을 확인해달라는 청구가 '확인의 이익'이 있어 적법한지 여부. 피고 B가 주장한 2억 5천만 원의 성격(주식 매매대금 vs. 대여금의 일부). 원고 A가 E, V, W 등에게 지급한 3억 1,500만 원의 성격(사례금/수익금 vs. 대여금 채무 변제).
피고 B의 항소를 기각한다. (원고 A가 주식의 주주라는 1심 판결 유지) 피고 B가 항소심에서 제기한 반소를 각하한다. (확인의 이익이 없다고 판단) 본소 및 반소의 소송 총비용은 피고 B가 부담한다.
항소심 법원은 원고 A가 주식의 진정한 주주라는 1심 판결을 인용하여 피고 B의 항소를 기각했습니다. 피고 B가 제기한 반소에 대해서는, 피고 B의 주장이 사실이라 하더라도 원고와 G 사이의 법률관계에 불과하며, 피고 B 자신의 어떠한 권리가 확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확인의 이익'이 없다고 보아 부적법하다고 판단하여 각하했습니다. 이는 법률관계를 확인하는 소송은 원고의 권리나 법적 지위에 현존하는 위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가장 유효하고 적절한 수단일 때만 인정된다는 원칙에 따른 것입니다.
확인의 소의 이익 (민사소송법상 일반 원칙): 법원은 확인의 소가 적법하려면 원고의 권리 또는 법적 지위에 현존하는 위험, 불안이 야기되어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해당 법률관계를 확인의 대상으로 삼아 원고와 피고 사이의 확인판결에 의해 즉시로 확정할 필요가 있고, 그것이 가장 유효적절한 수단이 되어야만 확인의 이익이 있다고 판단합니다. 본 사례에서 피고 B는 원고 A가 주주가 아니거나 G이 주주임을 확인해달라고 반소를 제기했으나, 법원은 피고 B의 주장대로 판결이 나더라도 피고 B 자신의 어떠한 권리가 확정되는 것이 아니며, 피고의 주주로서의 권리나 법적 지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아 '확인의 이익'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는 피고 B의 청구가 피고 B 본인의 법적 지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제3자와의 관계에 대한 것이었기 때문입니다. 민사소송법 제420조 (항소심 판결): 항소법원은 제1심판결이 정당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항소를 기각해야 합니다. 이 조항은 항소심이 1심 판결의 이유와 결론이 타당하다고 판단할 경우, 1심 판결의 이유를 인용하며 항소를 기각할 수 있도록 합니다. 본 사례에서 항소심은 1심 판결의 내용을 일부 수정하거나 추가하면서도 그 기본적인 이유 기재를 인용하여 원고 A의 본소 청구가 이유 있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주식의 명의신탁 여부는 실제 돈을 주고받은 내역, 자금의 출처 및 용도, 관련자의 진술 등 다양한 증거를 통해 판단됩니다. 주식 거래나 명의 관련하여 분쟁이 발생할 경우, 자금 흐름에 대한 명확한 증거(계좌 이체 내역, 차용증 등)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여금이나 투자금 등에 대한 금전 거래 시에는 그 성격을 명확히 하는 계약서나 차용증을 작성하고, 상환 계획이나 이자 지급 여부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예방해야 합니다. 단순히 "사례금"이나 "수익금"이라는 주장보다는 객관적인 증빙이 중요합니다. 법률적 관계를 확인해달라는 소송(확인의 소)을 제기할 때에는 본인의 권리 또는 법적 지위에 현존하는 위험이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해당 확인이 반드시 필요하고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어야 합니다. 제3자와 관련된 법률관계를 확인하는 청구는 본인의 권리나 지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인정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관련된 형사사건의 수사 결과(예: 불기소 처분)는 민사 재판에서 사실 관계를 판단하는 데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서울남부지방법원 2007
서울중앙지방법원 2022
광주지방법원 2020
서울남부지방법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