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민사사건
이 사건은 피고 B와 원고 A가 공동으로 부동산을 매수하기로 약정하고 피고 B의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후, 원고 A가 자신의 지분에 해당하는 매매대금, 중개수수료, 등기비용을 지급하였습니다. 이후 원고 A와 피고 B는 원고 A의 지분(1653/3995)에 대해 매매예약을 체결하고 가등기를 마쳤는데, 이 계약에서 가등기 비용은 피고 B가 부담하기로 약정했습니다. 매매예약 완결일이 지났음에도 피고 B가 본등기 이행을 지체하고, 원고 A는 자신이 지불한 여러 비용들이 부당이득에 해당한다고 주장하며 피고 B에게 자신의 지분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본등기)를 청구하고, 과다하게 지출되었거나 피고 B가 부담해야 할 비용들에 대한 부당이득 반환을 청구한 사건입니다.
원고 A와 피고 B는 부동산을 공동으로 매수하기로 합의하고 피고 B 명의로 소유권 이전 등기를 마쳤습니다. 원고 A는 자신의 지분에 해당하는 매매대금과 중개수수료, 등기비용 등을 지급했습니다. 이후 원고 A는 피고 B와 자신의 지분에 대한 매매예약을 체결하고 가등기를 마쳤으며, 이 계약에서 가등기 비용은 피고 B가 부담하기로 약정했습니다. 매매예약 완결일이 경과했음에도 피고 B가 본등기 절차를 이행하지 않자, 원고 A는 피고 B를 상대로 본등기 절차 이행 및 자신이 과다하게 지출했거나 피고 B가 부담해야 할 각종 비용에 대한 부당이득 반환을 청구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원고 A가 가등기에 근거하여 피고 B에게 자신의 지분(1653/3995)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본등기)를 요구할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둘째, 원고 A가 지불한 등기비용, 중개수수료, 가등기비용, 재산세, 임료 상당액 등의 비용이 피고 B에게 법률상 원인 없는 이득이 되어 부당이득으로 반환해야 하는지 여부입니다. 특히 공동 매수 당사자 간에 부동산의 취득 및 보유에 수반하는 비용과 이익을 지분 비율에 따라 분담하기로 하는 묵시적인 합의가 있었는지 여부가 중요하게 다루어졌습니다.
법원은 원고의 청구 중 일부를 받아들이고 일부는 기각했습니다.
법원은 원고 A가 자신의 지분에 대한 본등기 절차를 청구하는 것에 대해 매매예약 완결에 따라 피고 B가 이를 이행할 의무가 있다고 보아 원고 A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부당이득 반환 청구에 대해서는 공동 매수 당사자 간에 부동산의 취득 및 보유에 수반하는 비용을 지분 비율에 따라 분담하기로 하는 묵시적 합의가 있었다는 점과 매매예약 약정 내용을 근거로 삼아 원고 A가 부담한 등기비용 중 피고 B 지분 해당액과 매매예약 약정에 따른 가등기비용만을 부당이득으로 인정하고 피고 B에게 반환을 명했습니다. 나머지 중개수수료, 재산세, 임료 등에 대한 원고 A의 청구는 증거 부족 및 묵시적 합의 등의 이유로 기각되었습니다.
이 사건 판결에는 다음과 같은 법률과 법리가 적용되었습니다.
서울중앙지방법원 2022
광주지방법원 2022
서울중앙지방법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