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면세점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국제선 공항 이용 제한으로 영업이 불가능했던 2020년 4월 6일부터 8월 31일까지의 임대료 150억 원을 한국공항공사로부터 반환받았습니다. 이 사건은 공공기관과 임차인 간 임대료 감액 및 반환을 둘러싼 법률 분쟁의 대표적 사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건의 핵심 쟁점은 임대차 계약상 "사용 목적의 불가능성" 여부입니다. 대법원은 국제선 청사 폐쇄가 임대차 계약에서 정한 목적을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하여 임대료 반환 청구가 정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는 민법 제625조(임대인의 의무) 및 제636조(임차인의 권리) 등 임대차 관계 법리에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앞선 1심과 2심은 완전 영업 불가능 상태라는 점에는 동의하나 임대차목적물 일부는 사용 가능하다고 보아 임대료 감액 비율을 다르게 판단하여 일부 반환만을 인정했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국민 보건과 공공정책에 의한 영업 중단의 객관적 사실을 고려해 임대료 반환 전액을 인정한 것입니다.
이번 판결은 팬데믹 같은 전례 없는 외부 환경 변화가 임대차 계약자에게 미치는 법적 영향을 재조명합니다. 특히, 계약서에 "불가항력(Force Majeure)" 조항이 명시되어 있지 않거나 그 적용 범위가 불분명할 경우에도 민법상 임대차 목적물 사용 불가능시 임대료 반환 청구가 가능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임차인이 임대료 감액 또는 반환 청구 권리를 행사할 때는 객관적인 영업 불능 사실과 계약 목적 달성 불가능성 입증이 중요합니다. 반면 임대인은 계약 조건과 공익적 조치를 근거로 부분적 감액만을 주장할 수 있으나 대법원 판례는 이러한 주장을 엄격히 판단할 여지를 보여줍니다.
앞으로 임대차 계약 체결 시에는 불가항력 상황 발생 시 임대료 조정 여부를 포함한 구체적인 조항을 명확히 하고, 공공기관 및 민간사업자 모두 예상치 못한 영업 제한 상황에 유연히 대응할 수 있도록 계약서 작성에 심혈을 기울여야 합니다.
이번 사례는 공공기관과 임차인 간 갈등 해결을 위한 법원의 역할과 사회적 상황에 따른 법 해석의 중요성을 일깨워 줍니다. 법률적 분쟁 해소 과정에서 명확한 증거 확보와 법리 이해는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