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
원고인 주식회사 A는 D회사에 정밀기계 부품 가공 작업을 해주고 가공비 30,365,940원을 받지 못했습니다. 원고는 D회사의 감사이자, D회사의 책임재산을 빼돌려 새로운 회사인 주식회사 B를 설립하고 운영했다고 주장하는 피고 C과 B회사가 공동으로 불법행위를 저질렀다며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또한 D회사가 B회사에 가지고 있는 물품대금 채권에 대해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을 받아 B회사에 추심금을 청구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피고 C이 D회사의 실제 대표자 또는 운영자이거나 B회사가 D회사의 책임재산을 빼돌려 설립된 회사라는 점을 인정할 증거가 부족하다고 판단했고, D회사가 B회사에 대해 추심금을 받을 채권이 있다는 증거도 부족하다고 보아 원고의 모든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원고인 주식회사 A는 2017년 6월부터 12월까지 D회사로부터 정밀기계 Spindle Assy 부품 가공을 의뢰받아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총 가공비 35,199,560원 중 4,833,620원만 받고 나머지 30,365,940원을 받지 못했습니다. 원고는 2018년 1월 9일 D회사에 지급명령을 신청하여 승소 판결을 받았고, 이 판결은 2018년 10월 27일 확정되었습니다. 그러나 원고는 D회사의 감사인 피고 C이 2017년 10월 10일 주식회사 B를 설립하여 D회사의 기계, 자재, 거래처 채권 등 모든 재산을 B회사로 빼돌려 채권자인 원고의 채권 행사를 불가능하게 했다고 주장하며, 피고 C과 B회사를 상대로 공동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또한 D회사가 B회사에 대해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물품대금 채권에 대해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을 받아 B회사에 추심금 지급을 청구했습니다.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피고 C이 D회사의 실제 대표자이자 운영자인지 여부, 피고 B회사가 D회사의 책임재산을 빼돌려 설립된 회사인지 여부, 그리고 피고들의 행위가 원고에게 손해를 입힌 공동불법행위를 구성하는지 여부였습니다. 또한 D회사가 B회사에 대해 원고가 추심명령을 받은 채권을 실제로 가지고 있는지 여부도 중요한 쟁점이었습니다.
법원은 원고의 피고들에 대한 모든 청구를 기각하고, 소송 비용은 원고가 부담하도록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피고 C이 D회사의 실질적 대표자 또는 운영자라거나 피고 B회사가 D회사의 책임재산을 빼돌려 설립된 회사라는 점을 인정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원고가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을 받았지만, D회사가 B회사에 대해 추심금에 해당하는 채권을 가지고 있다는 증거도 부족하다고 보아, 원고의 주위적 청구(손해배상금)와 예비적 청구(추심금) 모두 이유 없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이 판례는 주로 공동불법행위와 채권 추심에 대한 법리를 다루고 있습니다.
공동불법행위 (민법 제760조):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 각자가 그 손해를 연대하여 배상할 책임이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 원고는 피고 C과 B회사가 D회사의 재산을 빼돌려 원고에게 손해를 입혔다고 주장하며 공동불법행위를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원고가 주장하는 사실, 즉 피고 C이 D회사의 실질적인 대표자이거나 B회사가 D회사의 재산을 빼돌려 설립되었다는 점에 대한 충분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으므로, 공동불법행위는 성립되지 않는다고 보았습니다.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 (민사집행법 제223조, 제229조 등): 채권자는 법원의 명령에 따라 채무자가 제3채무자(이 사건에서는 D회사가 B회사에 대해 가지고 있다고 원고가 주장한 채권)에게 가지고 있는 채권을 직접 추심하여 자신의 채무 변제에 충당할 수 있습니다. 원고는 D회사가 B회사에 대해 물품대금 채권을 가지고 있다며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을 받았으나, 법원은 D회사가 B회사에 대해 실제 채권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입증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추심금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증명책임의 원칙: 민사 소송에서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사실에 대해 주장을 하는 당사자에게 증명책임이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 원고는 피고들의 공동불법행위 사실과 D회사의 B회사에 대한 채권 존재 사실을 증명해야 할 책임이 있었으나, 이를 충분히 증명하지 못하여 청구가 기각되었습니다.
회사의 실질적인 운영자가 누구인지, 또는 회사의 재산이 다른 회사로 빼돌려졌다는 주장을 할 때는 매우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명함을 사용했거나 특정 주소지에서 서류를 수령했다는 사실만으로는 법원에서 주장을 인정받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재산 은닉이나 법인격 남용과 관련된 주장을 하려면, 자산의 이전 내역, 자금의 흐름, 경영진의 실질적 지배 관계 등을 명확하게 증명할 수 있는 회계 장부, 계약서, 금융거래 내역 등의 증거를 철저히 준비해야 합니다. 또한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을 받았더라도, 채무자(이 경우 D회사)가 제3채무자(이 경우 B회사)에게 실제로 해당 채권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명확하게 입증되어야 추심금을 받을 수 있으므로, 채권의 존재 여부를 충분히 확인하고 입증 자료를 마련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