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민사사건
피고인 A는 자신의 차량으로 B를 충격하여 상해를 입혔음에도 불구하고, B가 차량에 충격당하지 않았다는 취지로 허위 고소장을 제출하여 무고죄로 기소되었습니다. 원심 법원에서 벌금 1,000만 원을 선고받자, 피고인과 검사 모두 양형 부당을 이유로 항소하였습니다. 항소심 법원은 피고인의 고소 내용이 명백한 허위이며 무고의 고의가 인정된다고 판단하여 피고인과 검사의 항소를 모두 기각하고 원심 판결을 유지했습니다.
피고인 A는 자신의 차량으로 B를 충격하여 B에게 상해를 입혔습니다. 이로 인해 A는 특수상해죄 등으로 기소되어 유죄 판결(징역 2년, 집행유예 3년)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B가 차량에 충격당하지 않았다는 등의 허위 사실을 주장하며 B를 고소했습니다. B에 대한 고소 내용은 차량 충격 사실을 부인하고 B에게 상해가 없었다는 취지였습니다.
피고인 A가 B를 상대로 제출한 고소 내용이 허위이며 형사처분을 받게 할 목적이 있었는지 여부와, 원심이 선고한 벌금 1,000만 원의 형량이 적정한지 여부입니다.
항소심 법원은 피고인 A의 고소 내용이 명백히 허위이며, A가 허위임을 알면서도 B로 하여금 형사처벌을 받게 할 목적으로 무고한 행위라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원심의 벌금 1,000만 원이 너무 무겁거나 가볍다고 볼 수 없다고 보아 피고인과 검사의 항소를 모두 기각하고 원심 판결을 확정했습니다.
법원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허위 사실로 타인을 고소하여 사법 기능을 침해하고 피해자를 위험에 빠뜨린 피고인의 행위가 죄질이 매우 불량하다고 보았습니다. 이 사건은 명백한 증거에도 불구하고 허위 주장을 반복하며 반성하지 않는 태도가 양형에 불리하게 작용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형법 제156조 (무고): "타인으로 하여금 형사처분 또는 징계처분을 받게 할 목적으로 공무소 또는 공무원에 대하여 허위의 사실을 신고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 A는 자신의 차량으로 B를 충격하여 B가 상해를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B가 차량에 충격당하지 않았다는 취지로 허위 고소를 했습니다. 법원은 블랙박스 영상, 목격자 진술, B의 상해 진단서 및 상처 사진 등을 종합하여 A의 고소 내용이 명백한 허위임을 인정했습니다. 또한, A가 이미 특수상해 혐의로 기소되어 유죄 판결을 받은 상태에서 B를 고소한 점 등을 고려할 때, B로 하여금 형사처분을 받게 할 목적이 있었다고 보아 무고죄가 성립한다고 판단했습니다. 형사소송법 제364조 제4항 (항소기각): "항소법원은 항소이유 없다고 인정한 때에는 판결로써 항소를 기각하여야 한다." 항소심 법원은 피고인과 검사 양측이 제기한 사실오인, 법리오해, 양형부당 주장이 모두 이유 없다고 판단하여 이 조항에 따라 항소를 모두 기각했습니다. 이는 원심의 판단이 정당하고 적절했다는 의미입니다.
증거의 중요성: 사건 발생 당시의 블랙박스 영상, 목격자 진술, 피해자의 상해 진단서 및 상처 사진 등 객관적인 증거는 사실관계를 판단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고소 전 사실관계 확인: 누군가를 고소하기 전에는 자신이 주장하는 내용이 진실인지 명확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단순히 '진실이라고 확신한다'는 주장은 허위 고소의 면책 사유가 되지 않습니다. 무고죄의 위험: 허위 사실로 타인을 형사처분 또는 징계처분을 받게 할 목적으로 고소할 경우 무고죄가 성립될 수 있으며, 이는 국가의 사법 기능을 침해하는 중대한 범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수사기관 진술의 일관성: 수사 과정에서 진술을 번복하거나 일관되지 않은 주장을 하는 것은 신뢰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초기에 사실을 인정했던 부분이 나중에 번복될 경우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반성하는 태도의 중요성: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반성하는 태도는 양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범행을 부인하고 피해자를 탓하는 태도는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전주지방법원 2021
서울동부지방법원 2021
서울서부지방법원 2022
전주지방법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