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차
이 사건은 세입자 A씨가 집주인 B씨와 C씨(부부)에게 임대차계약 합의해지에 따른 보증금 반환 및 보증금 반환 지연으로 발생한 손해배상을 청구한 사건입니다. 세입자 A씨는 집주인들과 2021년 12월 27일 임대차 계약을 합의해지하기로 했고, 이를 전제로 새로운 아파트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 7,600만 원을 지급했습니다. 하지만 집주인들은 합의해지일에 전세 보증금 잔액을 반환하지 않았고, 이에 A씨는 새로운 계약을 이행하지 못하여 계약금 7,600만 원을 몰취당했습니다. 법원은 임대차계약이 2021년 12월 27일 합의해지되었고, 세입자 A씨가 임차 아파트 인도의무를 이행제공했음에도 집주인들이 보증금을 반환하지 않아 손해가 발생했다고 판단했습니다. 결과적으로 법원은 집주인들이 공동으로 A씨에게 임차보증금 잔액 5억 원을 건물 인도와 동시에 지급하고, 손해배상금 7,600만 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세입자 A씨는 집주인 B씨, C씨와의 아파트 임대차 계약 만료일이 2022년 1월 21일이었으나, 늦어도 2021년 11월 2일경 2021년 12월 27일자로 계약을 합의해지하기로 했습니다. 합의해지를 전제로 A씨는 2021년 11월 2일 다른 아파트에 대한 새로운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 7,600만 원을 지급했으며, 이사를 준비했습니다. 하지만 합의해지일인 2021년 12월 27일 집주인들은 A씨에게 전세 보증금 잔액 5억 원을 반환하지 못했습니다. A씨는 집주인들에게 보증금 반환을 독촉했으나, 보증금이 반환되지 않아 새로운 임대차 계약의 잔금을 치르지 못하게 되었고, 결국 2021년 12월 28일 새로운 계약이 파기되면서 이미 지급한 계약금 7,600만 원을 몰취당했습니다. 이에 A씨는 집주인들을 상대로 전세 보증금 잔액 5억 원의 반환과 계약금 7,600만 원 상당의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임대차계약이 2021년 12월 27일 합의해지되었는지 여부. 둘째, 집주인들이 세입자에게 임차보증금 잔액을 반환할 의무가 있는지 여부. 셋째, 집주인들의 보증금 반환 지연으로 인해 세입자가 새로운 임대차 계약금을 몰취당한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는지 여부 및 그 범위.
재판부는 제1심 판결을 변경하여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세입자 A씨는 집주인 B, C씨로부터 임차보증금 잔액 5억 원과 새로운 임대차 계약금 7,600만 원 및 지연손해금을 지급받게 되었고, 집주인들은 건물 인도와 동시에 보증금을 반환하고 손해배상 책임을 지게 되었습니다.
이 사건과 관련하여 중요한 법률 및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