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약 · 기타 형사사건
피고인 A는 과거 마약류 범죄로 징역형을 마치고 출소한 지 약 2년 만에 다시 필로폰을 투약하고 대마를 흡연하며 소지한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재범임이 고려되어 징역 1년 6월, 약물중독 재활교육 80시간 이수, 압수된 마약류 및 주사기 몰수, 30만 원 추징 등의 형이 선고되었습니다.
피고인 A는 2019년 1월 17일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위반(향정)죄 등으로 징역 1년 4월을 선고받고 2019년 10월 31일 형의 집행을 종료했습니다. 그러나 피고인은 마약류 취급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범죄를 저질렀습니다.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위반(향정): 가. 투약 범행: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위반(대마): 가. 흡연 범행: 2022년 3월 1일 01시 00분경, 필로폰 투약 후 자신의 주거지 옥상으로 이동하여 동네 선배로부터 매수한 대마 불상량을 은박지 파이프에 넣어 불을 붙인 뒤 연기를 마시는 방법으로 흡연했습니다. 나. 소지 범행: 2022년 3월 3일 11시 50분경, 자신의 싼타페 차량 내부 콘솔박스 안에 대마 약 2.35g이 든 투명 비닐봉투를 보관하여 대마를 소지했습니다.
피고인의 과거 마약류 범죄 전력에도 불구하고 누범 기간 중 다시 필로폰과 대마를 투약하고 소지한 행위에 대한 처벌 수위 결정, 특히 투약 및 흡연한 마약류의 양이 특정되지 않았을 때 추징금을 어떻게 산정할 것인지가 주요 쟁점이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 A에게 징역 1년 6월을 선고하고, 80시간의 약물중독 재활교육 프로그램 이수를 명령했습니다. 또한 압수된 주사기 1개, 필로폰이 든 주사기 1개, 일회용 주사기 3개, 필로폰이 든 투명봉투 1개, 대마잎이 든 투명봉투 1개, 일회용 주사기 3개, 잘라진 일회용 주사기가 든 종이봉투 2개 등 총 8점의 증거물을 몰수했습니다. 더불어 피고인으로부터 30만 원을 추징하고 이에 상당한 금액의 가납을 명령했습니다.
이 사건은 마약류 범죄의 재범에 대해 엄중하게 처벌하며, 재범 방지를 위한 약물중독 재활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판결입니다. 특히 투약량 불상량의 경우에도 통상적인 1회 투약분을 기준으로 추징금을 산정할 수 있다는 법원의 판단을 보여줍니다.
이 사건은 다양한 마약류 관련 법률 조항과 형법상 원칙들이 적용되었습니다.
마약류관리에 관한 법률 제60조 제1항 제2호, 제4조 제1항 제1호, 제2조 제3호 나목: 향정신성의약품인 메트암페타민(필로폰)을 투약하거나 소지하는 행위를 처벌하는 조항입니다.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제61조 제1항 제4호 가목, 제3조 제10호 가목: 대마를 흡연하는 행위를 처벌하는 조항입니다.
마약류관리에 관한 법률 제61조 제1항 제4호 나목, 제3조 제10호 나목: 대마를 소지하는 행위를 처벌하는 조항입니다.
형법 제35조 (누범가중): 금고 이상의 형을 받아 그 집행을 종료하거나 면제를 받은 후 3년 내에 다시 금고 이상에 해당하는 죄를 범한 자는 누범으로 가중 처벌됩니다.
형법 제37조 전단, 제38조 제1항 제2호, 제50조 (경합범가중): 여러 개의 죄를 동시에 저질렀을 때 그 죄들을 하나로 묶어 형량을 정하는 기준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필로폰 투약, 소지 및 대마 흡연, 소지 등 여러 범죄가 경합범으로 처리되어 형이 가중되었습니다.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제40조의2 제2항 본문 (이수명령): 마약류 관련 범죄를 저지른 사람에게 재범 방지를 위해 약물중독 재활교육 프로그램 이수를 명할 수 있습니다.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 제67조 (몰수 및 추징): 마약류 관련 범죄에 사용된 물건이나 범죄로 얻은 마약류 및 그 가액을 몰수하거나 추징할 수 있습니다.
형사소송법 제334조 제1항 (가납명령): 추징금 등은 판결 확정 후 집행하는 것이 원칙이나, 미리 납부하도록 명할 수 있습니다.
마약류 범죄는 개인의 건강을 해칠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므로 엄중하게 처벌됩니다. 동종 전과로 이미 처벌받은 경험이 있다면, 출소 후 3년 이내에 다시 마약류 범죄를 저지를 경우 '누범'으로 분류되어 더욱 가중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필로폰이나 대마 등 마약류의 투약, 흡연, 소지 등 어떠한 형태의 행위라도 법에 의해 처벌 대상이 됩니다. 마약류의 투약량이나 흡연량이 명확히 특정되지 않는 경우에도, 법원은 통상적인 1회 투약 또는 흡연 분량의 가액을 기준으로 추징금을 산정할 수 있으므로, 범행 당시의 양을 특정하기 어렵다고 해서 추징을 면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마약류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을 경우, 재범을 방지하고 약물중독 치료를 돕기 위해 약물중독 재활교육 프로그램 이수를 명령받을 수 있습니다. 자신이 저지른 범죄를 인정하고 반성하는 태도는 재판 과정에서 양형(형량 결정)에 긍정적인 요소로 참작될 수 있습니다. 마약류가 단순히 소지되었을 뿐 유통까지 이르지 않았다는 점도 유리한 정상으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
전주지방법원 2023
의정부지방법원고양지원 2021
전주지방법원 2017
수원지방법원성남지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