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민사사건
주식회사 A는 주식회사 B와 맺은 협약이 농업진흥구역 해제 및 농지전용협의 업무 완료 기한을 넘겼음에도 불구하고 유효하다고 주장하며 협약에 따른 금전 지급을 청구하였습니다. 주식회사 A는 기한 내 업무가 완료되지 못하더라도 협약 효력을 유지하기로 하는 별도의 묵시적 합의가 있었다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결국 항소심 법원은 주식회사 A의 항소를 기각하고 원심 판결이 정당하다고 보았습니다.
주식회사 A와 주식회사 B는 농업진흥구역 해제 및 농지전용협의 업무와 관련된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협약에는 2016년 12월 31일까지 해당 업무를 완료하지 못하면 협약의 효력이 상실될 수 있다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이 기한까지 업무가 완료되지 않자, 주식회사 A는 기한과 관계없이 협약의 효력을 유효하게 유지하기로 하는 별도의 묵시적 합의가 있었다고 주장하며, 협약에 따라 주식회사 B에게 550,881,600원 및 지연 이자를 지급하라고 청구하였습니다. 반면 주식회사 B는 협약이 효력을 잃었다고 주장하며 지급을 거부했습니다.
협약에서 정한 특정 업무(농업진흥구역 해제 및 농지전용협의) 완료 기한(2016년 12월 31일)이 지켜지지 않았을 때 해당 협약의 효력이 상실되는지 여부, 그리고 기한 미준수에도 불구하고 협약의 효력을 유효하게 존속시키기로 하는 별도의 묵시적 합의가 있었는지 여부.
항소법원은 원고 주식회사 A의 항소를 기각하고, 제1심 판결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주식회사 A가 주장한 묵시적 합의가 있었다는 증거를 찾기 어렵다고 본 것입니다. 이에 따라 주식회사 A는 주식회사 B에게 청구한 550,881,600원의 지급을 받지 못하게 되었고 항소 비용도 부담하게 되었습니다.
법원은 원고가 주장한 묵시적 합의의 존재를 인정할 증거가 부족하다고 보아, 농지전용 협약의 효력이 유지된다는 원고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이에 따라 원고의 항소는 기각되었고, 협약 효력 상실을 인정한 제1심 판결이 최종적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서울중앙지방법원 2021
서울고등법원 2023
부산지방법원 2018
수원지방법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