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민사사건
원고 법무법인이 피고 투자회사에게 특정 기업 인수 거래에 대한 투자 컨설팅 용역을 제안하고 제공했으나, 피고는 명시적인 계약 불성립 및 거래 관행을 이유로 보수금 지급을 거부했습니다. 법원은 명시적인 계약서가 없었더라도 원고와 피고 사이에 묵시적인 자문계약이 성립되었고, 이에 따라 피고는 원고에게 제공받은 용역에 대한 상당한 보수를 지급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법무법인 A는 C 회사에게 E 주식회사의 경영권 인수 거래에 투자할 것을 제안하며 관련 컨설팅 용역을 제공했습니다. 원고는 자문용역계약서 초안을 피고에게 보냈으나 피고는 이에 서명하지 않았고, 최종적으로 피고는 해당 거래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원고는 제공한 컨설팅 용역에 대한 보수 12,405,000원을 청구했으나, 피고는 명시적인 계약이 없었고 원고의 활동은 피고를 위한 것이 아닌 D 주식회사의 공동투자자 모집 활동에 불과하며, 최종 투자 불참 시 자문료를 지급하지 않는 것이 기업 인수합병 거래의 일반적인 관행이라고 주장하며 보수금 지급을 거부했습니다.
법원은 원고와 피고 사이에 명시적인 계약이 없었더라도 원고가 피고를 위해 컨설팅 용역을 제공하고 피고가 이를 수령한 사실을 인정하여, 묵시적인 자문계약이 성립되었다고 보았습니다. 이에 따라 피고는 원고에게 용역에 대한 보수를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다만 원고가 청구한 금액 12,405,000원 전액이 아닌 6,000,000원을 적정한 보수액으로 인정하고,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지연손해금은 2021년 3월 19일부터 2022년 9월 15일까지는 민법에서 정한 연 5%, 그 다음 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는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에서 정한 연 12%의 각 비율로 지급해야 합니다.
법원은 원고의 청구 중 일부를 받아들여 피고가 원고에게 600만 원 및 지연이자를 지급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이로써 명시적 계약이 없었더라도 전문적인 용역 제공에 대한 묵시적 위임 계약이 성립될 수 있고, 이에 따른 보수 지급 의무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