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민사사건
사망 사고로 인해 발생한 손해에 대하여 유족(배우자와 자녀들)이 가해자들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사건입니다. 원고들은 망인의 일실수입, 망인 본인의 위자료, 그리고 유족들의 위자료를 포함한 손해배상액을 청구했습니다. 1심 판결에 불복하여 원고와 일부 피고가 항소하였고 항소심 법원은 망인에 대한 위자료 인정금액과 상속금액 계산을 일부 변경하여 유족들이 지급받을 배상액을 상향 조정한 사례입니다.
어떤 범죄 행위로 인해 한 사람이 사망에 이르렀고, 사망한 사람의 유족(배우자와 자녀들)은 가해자로 지목된 여러 사람을 상대로 망인의 생전 수입 상실분(일실수입), 망인 본인의 정신적 고통에 대한 위자료, 그리고 유족들이 겪은 정신적 고통에 대한 위자료를 포함하는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이 사건은 1심 판결에서 인정된 위자료 액수 및 상속재산 배분, 그리고 피고들의 책임 범위에 대해 원고들과 일부 피고가 불복하여 항소심까지 이어진 상황입니다.
사망 사고로 인한 손해배상 사건에서
항소심 법원은 1심 판결 중 원고들과 피고 E, F 사이의 위자료 청구 부분을 일부 변경하여 원고들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이에 따라 피고 E와 F은 공동으로 원고 A에게 6,666,666원, 원고 B, C, D에게 각각 4,444,444원과 이에 대한 지연 이자를 추가로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피고 E의 항소와 원고들의 피고 G, H에 대한 항소, 그리고 피고 E, F에 대한 나머지 항소는 모두 기각되었습니다. 소송 총비용은 원고들이 3/5, 피고 E, F이 나머지를 부담하고, 피고 G, H에 대한 항소비용은 원고들이 부담하게 되었습니다.
사망 사고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항소심 법원은 망인의 위자료 산정과 상속금액 계산을 다시 하여 1심에서 인정한 것보다 더 많은 위자료를 피고 E, F이 원고들에게 지급하도록 판결했습니다. 이는 망인에 대한 위자료를 8천만 원으로 인정하고 이를 포함한 상속 대상금액 198,399,395원을 배우자 A에게 3/9, 자녀 B, C, D에게 각 2/9 비율로 상속 배분하여 기존의 공탁금을 제외한 최종 배상액을 확정한 결과입니다.
이 사건은 기본적으로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책임에 관한 민법 조항들을 바탕으로 합니다.
수원지방법원평택지원 2019
대구지방법원 2018
대구지방법원 2023
부산지방법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