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민사사건
망 E가 차량을 의도적으로 해상에 추락시켜 발생한 사고이므로 보험계약의 면책 약관에 따라 보험금을 지급할 필요가 없다는 보험회사의 주장이 대법원에서 인정된 사건입니다. 망 E의 가족들은 보험금 지급을 요구하며 상고했으나 법원은 보험사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망 E의 차량이 해상으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고, 이로 인해 망 E가 사망하자 그의 가족들은 보험회사에 보험금을 청구했습니다. 그러나 보험회사는 망 E가 의도적으로 차량을 해상에 추락시켰다고 주장하며 보험금 지급을 거부했습니다. 이에 망 E의 가족들은 보험금 지급을 요구하며 소송을 제기했고, 최종적으로 대법원에서까지 다툼이 이어졌습니다.
이 사건 차량 사고가 피보험자인 망 E가 고의로 차량을 해상에 추락시켜 발생한 사고인지 여부와, 만약 그렇다면 해당 사고가 보험계약의 '피보험자가 고의로 자신을 해친 경우' 면책 약관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핵심 쟁점입니다.
대법원은 원심의 판단, 즉 이 사건 사고가 망 E가 차량을 의도적으로 해상에 추락시켜 발생한 사고이며 보험계약의 면책 약관상 '피보험자가 고의로 자신을 해친 경우'에 해당한다고 본 판단이 정당하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피고들(망 E의 가족들)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피고들이 부담하도록 판결했습니다.
피보험자가 고의로 자신을 해친 경우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아도 된다는 보험회사의 주장이 최종적으로 받아들여져, 보험금 청구를 한 망 E의 가족들의 상고가 기각되었습니다.
이 판례는 보험계약의 '면책 약관'과 '증명 책임'에 대한 법리를 다루고 있습니다. 보험 계약에는 특정 상황에서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아도 되는 조항(면책 약관)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특히 '피보험자가 고의로 자신을 해친 경우'는 흔한 면책 사유 중 하나입니다. 보험회사가 이 면책 약관을 주장하려면 해당 사고가 피보험자의 고의에 의한 것임을 '증명'해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법원은 이러한 증거들을 '논리와 경험의 법칙'에 따라 자유롭게 판단하는데, 이를 '자유심증주의'라고 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보험회사가 망 E의 고의성을 성공적으로 증명했다고 본 것입니다.
보험 계약 시 '피보험자가 고의로 자신을 해친 경우'와 같은 면책 약관의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험사는 해당 사고가 고의에 의한 것임을 증명해야 할 책임이 있으며, 법원은 제출된 증거와 논리, 경험의 법칙에 따라 고의성 여부를 판단합니다. 고의성 판단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므로 관련 증거들을 철저히 준비하고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이 사건처럼 고의성이 인정되면 보험금 지급을 받기 어렵습니다.

대전지방법원홍성지원 2020
전주지방법원 2019
서울중앙지방법원 2020
서울중앙지방법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