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형사사건 · 금융
피고인 A는 자신이 운영하던 마트에서 총 6장의 당좌수표(합계 1억 원 이상)를 발행하였으나, 예금 부족 또는 무거래로 인해 지급되지 않아 부정수표단속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에게 징역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하고, 일부 수표에 대해서는 피해자와의 합의로 인해 공소를 기각했습니다.
피고인 A는 2013년 5월경부터 B은행과 당좌수표 계약을 맺고 D마트를 운영해왔습니다. 2019년 3월 10일부터 4월 14일 사이에 총 5장의 당좌수표(합계 89,610,000원 상당)를 발행했으나, 수표 소지인이 지급 제시 기간 내에 은행에 제시했을 때 예금 부족으로 지급이 거절되었습니다. 또한, 2019년 3월 21일경 발행한 다른 당좌수표(11,160,000원) 1장 역시 지급 제시 기간 내에 은행에 제시되었으나 무거래(수표 계좌가 없거나 폐쇄된 상태)로 인해 지급되지 않았습니다. 이에 피고인은 부정수표단속법 위반 혐의로 고발되어 재판을 받게 되었습니다.
피고인이 발행한 당좌수표가 예금 부족 또는 무거래로 지급 거절된 행위가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다수의 부정수표 발행에 대한 적절한 형량 결정, 그리고 일부 수표에 대한 공소 기각 사유(반의사불벌죄)가 주요 쟁점이 되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에게 징역 10개월을 선고하되, 이 판결 확정일부터 2년간 형의 집행을 유예했습니다. 또한, 공소사실 중 별지 범죄일람표 순번 4에 기재된 수표에 관한 공소는 기각했습니다.
피고인 A는 마트 운영 중 자금 사정이 악화되자 당좌수표를 발행했으나, 예금 부족 등으로 부도 처리되어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다만, 피고인이 동종 범죄로 처벌받은 전력이 없는 점과 일부 피해자와 합의한 점 등이 참작되어 징역형의 집행유예가 선고되었습니다. 이로써 피고인은 실형을 면하고 사회생활을 계속할 기회를 얻게 되었습니다.
이 사건에는 다음과 같은 법령과 법리가 적용되었습니다.
부정수표 단속법 제2조 제2항: 이 법률은 수표 발행인이 예금 부족이나 거래 정지 등의 사유로 수표가 지급되지 않게 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수표 금액의 10배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피고인은 총 6장의 당좌수표를 발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수표가 은행에 제시되었을 때 예금 부족이나 무거래 상태로 인해 지급이 거절되어 이 법률을 위반한 혐의를 받게 되었습니다. 수표 발행인은 수표 소지인이 정해진 기간 내에 수표를 제시하면 반드시 지급될 수 있도록 필요한 자금을 예치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형법 제37조 (경합범): 여러 죄를 저지른 경우 형을 어떻게 정할지에 대한 규정입니다. 피고인은 여러 장의 부정수표를 발행하여 다수의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죄를 저질렀으므로, 경합범으로 보아 형법의 규정에 따라 형이 가중되었습니다.
형법 제62조 제1항 (집행유예): 법원이 3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을 선고할 때, 죄를 저지른 사람의 여러 사정을 고려하여 1년 이상 5년 이하의 기간 동안 형의 집행을 유예할 수 있다는 조항입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이 동종 전과가 없고, 일부 피해자와 합의한 점 등이 참작되어 징역형의 집행을 유예받았습니다. 이는 법원이 피고인에게 다시 사회로 복귀하여 재기할 기회를 준 것입니다.
부정수표 단속법 제2조 제4항 (반의사불벌죄): 이 조항은 제2항의 죄(부정수표 발행)에 대해 피해자가 명시적으로 처벌을 원하지 않으면 공소를 제기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피고인이 발행한 수표 중 하나(별지 범죄일람표 순번 4 기재 수표)에 대해서는 피해자가 고소를 취하하여 이 조항에 따라 처벌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즉, 피해자와 합의하여 고소가 취하되면 해당 범죄에 대해서는 형사처벌을 면할 수 있습니다.
형사소송법 제327조 제6호 (공소기각 판결): 법원은 공소제기의 절차가 법률 규정에 위반하거나, 친고죄 또는 반의사불벌죄에 대해 고소가 취소된 경우 등 특정한 사유가 있을 때 공소기각 판결을 내릴 수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부정수표 단속법 위반 중 일부가 반의사불벌죄에 해당하고, 공소제기 후에 피해자와 합의하여 고소가 취하되었으므로 이 조항에 따라 해당 공소에 대해 기각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사업 운영 중 자금 사정이 어려워질 경우 당좌수표 발행은 매우 신중해야 합니다. 수표 발행 시점에 통장 잔액이 부족하거나 거래 정지 상태일 경우 법적인 책임을 지게 됩니다. 부도 위험이 있는 수표를 발행하는 행위는 부정수표단속법에 따라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재정 관리에 각별히 유의해야 합니다. 부정수표단속법 위반 중 일부는 피해자가 고소를 취하하면 처벌할 수 없는 '반의사불벌죄'에 해당하므로, 피해자와의 원만한 합의는 형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부정수표 발행 행위가 반의사불벌죄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므로, 관련 법률 내용을 정확히 확인해야 합니다. 상습적인 부정수표 발행은 가중처벌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수원지방법원안양지원 2020
서울남부지방법원 2020
부산지방법원서부지원 2022
수원지방법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