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민사사건
이 사건은 주식회사 A(원고)가 경매를 통해 취득한 토지 위에 설치된 분묘에 대해, 기존 토지 공유자이자 분묘의 후손인 피고 C와 D를 상대로 분묘의 굴이 및 철거, 토지 인도, 그리고 토지 사용에 대한 지료 지급을 청구한 사건입니다. 법원은 피고 C와 D가 해당 분묘에 대한 분묘기지권을 인정받았으므로 분묘 굴이 및 철거, 토지 인도 청구는 기각했습니다. 그러나 분묘기지권이 인정되더라도 토지 소유자가 지료를 청구한 날부터 지료를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보아, 피고 C와 D는 공동하여 원고에게 총 2,395,000원과 월 132,000원의 비율로 계산한 지료를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한편, 피고 B에 대한 청구는 분묘의 설치 및 관리자로 볼 증거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기각되었습니다.
이 사건 토지는 원래 G 문중 소유의 임야였고, 2000년대 초반에 H 및 피고 B, C, D가 지분을 공유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L, M, N, O이 피고들 및 K를 상대로 공유물분할 소송을 제기했고, 그 결과 토지를 경매에 부쳐 매각대금을 지분에 따라 분배하도록 하는 판결이 확정되었습니다. 이 경매 절차에서 주식회사 A(원고)가 이 토지를 낙찰받아 2019년 5월 22일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습니다. 원고는 토지를 취득한 후, 토지 위에 설치된 분묘들(이 사건 분묘 등)이 원고 소유의 토지를 점유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 분묘들의 굴이 및 철거, 토지 인도, 그리고 점유 기간 동안의 임료 상당액(지료) 지급을 피고 B, C, D에게 청구하면서 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피고 C, D는 자신들이 분묘기지권을 가지고 있으므로 원고의 청구에 응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피고 C, D가 이 사건 분묘에 대한 분묘기지권을 취득했는지 여부입니다. (토지 소유자의 승낙, 자기 소유 토지 양도 후 분묘 존속, 또는 20년간의 평온·공연한 점유를 통한 시효취득). 둘째, 분묘기지권이 인정될 경우, 토지 소유권이 변경된 새로운 소유자(원고)에게도 분묘기지권을 주장할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셋째, 분묘기지권이 인정되더라도 토지 사용에 대한 지료(임료 상당액)를 지급할 의무가 발생하는지, 그리고 지료 지급 의무가 있다면 언제부터 발생하는지 여부입니다. 넷째, 피고들의 분묘기지권 행사가 권리남용에 해당하는지 여부입니다. 다섯째, 피고 B이 이 사건 분묘를 설치, 관리하면서 토지를 점유하고 있는지 여부입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피고 C와 D가 이 사건 토지 소유자인 G 문중의 승낙을 받아 분묘를 설치했거나 20년 이상 평온, 공연하게 점유하여 분묘기지권을 시효 취득했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원고의 분묘 굴이, 철거 및 토지 인도 청구는 기각되었습니다. 그러나 분묘기지권을 시효 취득한 경우에도 토지 소유자가 지료를 청구하면 그 청구한 날부터 지료를 지급할 의무가 있다는 대법원 판례에 따라, 피고 C와 D는 원고에게 지료를 지급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지료는 원고의 토지 소유권 취득일인 2019년 5월 22일부터 계산되어 지급해야 합니다. 반면, 피고 B에 대해서는 분묘를 설치하거나 관리하고 있다는 증거가 불충분하여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또한, 피고들의 분묘기지권 행사가 권리남용에 해당한다는 원고의 주장도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이 사건과 관련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비슷한 상황에 처했을 때 다음 사항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