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대차
원고는 모텔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 1억 원과 중도금 3억 원을 지급했습니다. 그러나 임대인이 부동산 매매 계약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하여 임대차 계약이 파기되었고 원고는 지급한 돈의 반환을 요구했습니다. 법원은 실제 임대인인 법인과 그 대표에게 총 4억 원 및 지연손해금을 연대하여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또한 공인중개사와 중개보조인은 계약금 1억 원에 대한 반환 보증 책임을 인정받아 연대하여 지급하라는 판결을 받았습니다. 명의상 임대인에 대한 청구는 기각되었습니다.
원고는 모텔을 임차하여 운영할 목적으로 피고 F를 통해 이 사건 모텔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피고 D은 피고 C을 대표하여 이 모텔을 매수하고 원고에게 임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피고 D은 지인 L에게 부탁하여 그의 배우자인 피고 B의 명의로 매매계약과 임대차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원고는 피고 D에게 임대차 계약금 1억 원을 직접 지급했고, 피고 D은 이 사건 모텔 리모델링 공사를 완수하지 못할 경우 모든 손해를 배상하겠다는 확인서를 작성해 주었습니다. 이후 원고는 피고 C의 대출 편의를 위해 중도금 3억 원을 미리 지급했고, 이때 피고 E와 F는 보증서를 작성해 주었습니다. 그러나 피고 C은 모텔 매매대금을 제대로 지급하지 못했고, 피고 D은 중도금 3억 원을 인출한 후 잠적했습니다. 결국 임대차 계약이 이행 불능 상태가 되자 원고는 계약 해제를 통보하고 지급했던 계약금과 중도금의 반환 및 손해배상을 청구하게 되었습니다.
법원은 이 사건 임대차 계약의 실제 임대인을 피고 주식회사 C와 그 대표인 피고 D으로 판단하여 원고에게 지급받은 보증금 4억 원 전액과 지연손해금을 연대하여 배상하도록 판결했습니다. 또한 공인중개사와 중개보조인은 계약금 1억 원에 대한 보증 책임을 인정받아 연대 배상 의무를 지게 되었으나, 중도금 3억 원에 대한 책임은 없다고 보았습니다. 명의를 빌려준 사람은 계약 당사자가 아니므로 책임이 없다는 판결이 내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