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형사사건 · 노동
피고인 A는 건설업체를 운영하며 하도급받은 공사 현장에서 근로자들에게 임금 총 9,737,000원을 지급하지 않은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피고인은 자신이 근로자들의 사용자가 아니라고 주장했으나, 법원은 피고인이 B와 함께 공사를 진행하며 근로자들을 고용하고 이윤을 나눈 사실을 인정하여 유죄를 선고했습니다. 다만, 일부 근로자들이 피고인의 처벌을 원치 않아 해당 부분에 대해서는 공소기각 결정을 내렸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에게 징역 2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습니다.
피고인 A는 건설업자로 B로부터 경기 양평군 C 신축공사 중 철조공사 부분을 하도급받아 시공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2017년 7월부터 9월경까지 근무한 근로자 D를 비롯한 총 12명의 근로자들에게 임금 합계 9,737,000원을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지급하지 않았습니다. 피고인은 이 근로자들이 B에 의해 고용된 자들이고 자신이 고용한 사람들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임금 지급 의무를 부인하여, 피해 근로자들이 고소 및 진정을 제기함으로써 법적 분쟁이 발생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피고인 A가 임금을 받지 못한 근로자들의 실질적인 사용자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인한 임금 체불 사실이 인정되는지 여부였습니다. 또한, 일부 임금 체불 고소에 대한 피해 근로자들의 처벌 불원 의사가 법적 효력을 가지는지도 쟁점이 되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 A에게 근로기준법 위반 혐의를 인정하여 징역 2개월에 처하되, 이 판결 확정일로부터 2년간 위 형의 집행을 유예한다고 선고했습니다. 다만, 별지 범죄일람표 순번 1, 35, 711번에 기재된 근로자 9명에 대한 근로기준법 위반의 점에 대해서는 피해자들이 처벌을 원치 않으므로 공소기각 결정을 내렸습니다.
피고인 A는 건설 현장에서 근로자들의 임금을 체불한 사실이 인정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과거 동종 범죄 전력과 체불 임금의 액수, 그리고 일부 피해자와의 합의 여부가 양형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는 실질적인 사용자 지위 인정 및 근로기준법 준수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이 사건에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문제 상황에 처하게 된다면 다음과 같은 점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인천지방법원 2021
광주지방법원순천지원 2021
서울동부지방법원 2022
전주지방법원군산지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