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재개발
산업용 자동제어기기 개발 및 판매 회사인 주식회사 A, 건축내장자재 제조업체인 주식회사 B, 냉난방 기계설비 공사업체인 주식회사 C는 피고인 산업용 냉장 및 냉동장비 제조업체 주식회사 D와 여러 건의 하도급 계약을 맺고 공사를 완료했으나, 피고가 잔여 공사대금 및 추가 공사대금을 지급하지 않아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은 원고들의 공동소송이 적법하다고 판단했으며, 원고 A에게는 52,830,000원, 원고 B에게는 17,600,000원, 원고 C에게는 55,348,700원의 잔여 공사대금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그러나 추가 공사대금 청구는 추가 공사에 대한 합의나 적정 금액을 입증할 증거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기각되었습니다.
피고 회사(주식회사 D)는 원도급사(주식회사 E, G)로부터 받은 공사를 원고 회사들(주식회사 A, B, C)에게 하도급 주었습니다. 원고 회사들은 계약에 따라 자동제어, 건축내장, 냉난방 기계설비 등의 공사를 진행했으며, 대부분 공사를 완료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피고는 일부 공사가 미완료되었거나 추가 공사에 대한 대금 합의가 없었다는 등의 이유로 약정된 공사대금 중 일부를 지급하지 않았고, 이에 원고들은 미지급된 잔여 공사대금과 추가 공사대금을 받기 위해 공동으로 소송을 제기하게 되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세 가지 원고 회사가 피고 회사에 대해 제기한 공사대금 청구 소송이 공동소송으로서 적법한지 여부, 각 하도급 계약에 따른 잔여 공사대금이 남아있는지 여부, 그리고 추가 공사에 대한 대금 지급 의무가 발생하는지 여부였습니다. 특히 피고는 일부 공사가 미완료되었거나 추가 공사에 대한 합의가 없었다고 주장하며 대금 지급 의무가 없다고 항변했습니다.
법원은 먼저 원고들의 청구가 '소송목적이 되는 권리나 의무가 같은 종류의 것이고, 사실상 또는 법률상 같은 종류의 원인'에 해당하므로 공동소송이 적법하다고 판단하여 피고의 주장을 기각했습니다.
각 원고에 대한 판결은 다음과 같습니다.
나머지 청구는 모두 기각되었으며, 소송비용은 각 원고와 피고 사이에 발생한 부분에 대해 일정 비율로 분담하도록 했습니다.
결론적으로 법원은 피고가 원고들에게 여러 하도급 공사에 대한 잔여 공사대금 합계 125,778,700원과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다만, 원고들이 주장한 추가 공사대금에 대해서는 그 사실과 대금 합의를 충분히 증명하지 못하여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이 판결에서 중요하게 적용된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민사소송법 제65조 (통상공동소송) 이 조항은 여러 사람이 하나의 소송에서 공동으로 원고나 피고가 될 수 있는 요건을 정하고 있습니다. 원고들은 피고와의 개별 하도급 계약에 따라 공사대금을 청구했지만, 법원은 이 청구들이 '같은 종류의 것이고, 사실상 또는 법률상 같은 종류의 원인으로 말미암은 것'에 해당한다고 보아 공동소송이 가능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는 각 청구 사이에 구체적인 관련성이 없어도 소송의 종류가 같고 발생 원인이 유사하다면 하나의 소송으로 묶어 진행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공사도급계약상 추가공사대금 청구의 원칙
이러한 법리들을 통해 법원은 각 원고의 잔여 공사대금 청구는 인정하면서도, 증거가 부족한 추가 공사대금 청구는 기각하는 판단을 내렸습니다.
비슷한 상황에 처했을 때 다음 사항들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