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기
이 사건은 피고인 D 주식회사의 대표이사 A, 투자본부장 B, 운용팀장 C가 공모하여 해외 P2P 대출업체 관련 펀드를 판매하면서 부실 자산을 숨기고 투자자들을 속여 거액의 투자금을 편취하고 금융투자상품에 대한 중요사항을 거짓으로 표시했다는 혐의로 기소된 사건입니다. 검찰은 피고인들이 부실 자산 인수를 통해 기존 펀드의 환매 문제를 해결하려 '돌려막기'를 시도했으며 원리금이 보장되는 안전한 상품인 것처럼 속였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검찰이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피고인들이 AD 자산의 부실을 인식했거나, '돌려막기'를 했다거나, 펀드를 안전한 상품으로 기망했다고 합리적 의심의 여지 없이 증명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피고인들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또한 배상 신청인들의 배상 신청도 모두 각하되었습니다.
피고인 D 주식회사는 2017년부터 R 자산운용사의 S펀드에 투자하는 상품을 판매해왔습니다. 2017년 7월경 S펀드의 기초자산인 미국 P2P 대출업체 AX 자산에서 부실이 발생하여 S펀드 수익률이 하락했고, 판매사들이 신규 판매를 중단했습니다. 이에 2017년 8월경 피고인들은 R로부터 또 다른 P2P 대출업체 AD 자산에도 손상이 발생하여 '사이드포켓' 작업이 시행된다는 통지를 받았습니다. AD 자산의 부실로 S펀드 수익률이 급락하고 대규모 환매 요청이 발생할 위험이 커지자, 피고인들과 F은 케이만군도에 I 특수목적법인을 설립하고, I가 발행하는 채권(노트)에 투자하는 I채권펀드를 판매하여 그 투자금으로 R의 부실한 AD 자산 5,500만 달러 상당을 액면가로 매입했습니다. 이때 R의 대표자 Y는 자신의 R 지분 가치로 수익률을 보장하는 보증계약을 체결했습니다. 피고인들은 2018년 10월경 I에 대한 자산 실사를 통해 AD 대출채권의 대부분이 만기가 도래했고 회수율이 낮다는 사실 등을 알게 되었고, 2019년 3월 21일경에는 Y가 SEC 조사를 받다 사임하고 R의 AD 자산이 과대 계상되었다는 기사를 접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피고인들이 I채권펀드의 수익구조 및 위험요인을 충분히 설명하지 않고 기망하여 펀드를 판매했다는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피고인들은 모두 무죄로 선고되었습니다. 법원은 무죄 판결의 요지를 공시했으며 배상 신청인들의 배상 신청은 모두 각하했습니다.
법원은 검찰이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피고인들이 투자자들을 기망했거나 중요사항에 대해 거짓으로 기재 또는 표시했다는 사실이 합리적 의심의 여지 없이 증명되지 않았다고 판단했습니다.
이 사건 판결에서 적용되거나 논의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투자 상품 피해 상황에 대비하여 다음 내용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