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민사사건
이 사건은 피고 E, F, G이 공모하여 허위 광고로 화물차 지입차주를 모집하고, 차량 매입 및 고정 운송 노선 제공 명목으로 원고들로부터 거액의 돈을 편취한 사기 사건입니다. 원고 A는 피고 E, F에게 5,500만 원을, 원고 B, C, D은 피고 E, F, G에게 각각 약 9,800만 원, 9,500만 원, 9,800만 원을 지급했습니다. 피고들은 사기죄로 형사 처벌을 받았으며, 이 민사 소송에서는 원고들이 피고들을 상대로 편취당한 금액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법원은 피고들의 공동 불법행위를 인정하고, 각 원고에게 편취금과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특히 형사 합의금으로 일부 지급된 금액은 손해배상액에서 공제되었습니다.
피고 F는 사업자등록도 되지 않은 유령회사 'J'의 대표 명의를 빌려주고, 피고 E은 피고 F와 함께 'J'를 운영하며, 피고 G은 인터넷 광고를 통해 화물운송 지입차주를 모집했습니다. 이들은 서로 공모하여 화물차량을 매입해 고정적인 운송 노선을 제공할 것처럼 속여 원고들을 포함한 많은 피해자들로부터 지입차량 구입비와 화물운송계약 명목으로 거액을 편취했습니다.
이러한 사기 행위로 인해 피고들은 형사 재판에서 사기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원고들은 민사 소송을 통해 손해배상을 청구하게 되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피고 E, F, G이 공모하여 원고들에게 화물차 지입 사기를 저질렀음을 인정하고, 이들의 공동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책임을 인정했습니다. 특히 피고 F와 G이 범행에 소극적으로 가담했다고 주장했으나, 관련 형사 판결과 구체적인 가담 행위를 바탕으로 주장을 배척했습니다. 또한 피해자들의 과실상계 주장은 사기라는 영득행위의 특성상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피고들이 형사 합의금으로 지급한 금액은 손해배상액에서 공제하여 원고들의 최종 배상액을 확정했습니다.
이 사건에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비슷한 화물차 지입 사기 피해를 예방하거나 대처할 때 다음 사항들을 참고하세요.
서울고등법원 2021
수원지방법원 2022
서울동부지방법원 2022
서울고등법원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