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 · 기타 금전문제 · 압류/처분/집행 · 기타 민사사건
피고가 원고에게 마사지샵 영업을 양도하고 권리금까지 받았음에도, 동일한 H시 내에서 동종의 마사지샵을 운영하여 상법상 경업금지 의무를 위반하였습니다. 법원은 피고에게 2032년 7월 23일까지 H시 내에서 마사지샵 영업을 금지하고, 현재 운영 중인 동종 영업을 폐지하며, 위반 시 1일당 50만 원의 간접강제금을 지급하고, 원고에게 400만 원의 위자료와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피고 C는 2022년 6월 6일경 원고 A에게 H시 소재 'F' 마사지샵을 5천만 원에 양도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원고는 계약금과 잔금을 지급하고 2022년 7월 23일부터 'F' 마사지샵을 운영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피고는 영업 양도 이후, 양도된 'F' 마사지샵으로부터 약 498m 떨어진 곳에 'G' 마사지샵(2023년 4월 26일 폐업)을, 약 12km 떨어진 곳에 'E' 마사지샵을 개설하여 동종 영업을 운영했습니다. 이에 원고는 피고의 이러한 행위가 상법상 경업금지의무 위반에 해당한다고 주장하며, 영업 폐지, 동종 영업 금지, 간접강제금, 위자료 2천만 원 등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이 사건 계약이 상법상 '영업양도'에 해당하는지, 피고의 동종 마사지샵 운영이 상법상 '경업금지의무'를 위반한 것인지, 경업금지의무 위반에 따라 영업 폐지 및 간접강제를 명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로 인해 원고가 입은 정신적 고통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가 주요 쟁점이었습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이 사건은 피고가 원고에게 마사지샵을 양도한 후 동일 지역 내에서 동종 영업을 재개하여 상법상 경업금지 의무를 위반한 사례입니다. 법원은 이 계약을 상법상 영업양도로 인정하고, 피고의 동종 영업 행위가 경업금지 의무 위반에 해당한다고 보아 영업 금지, 영업 폐지, 그리고 손해배상 및 간접강제를 명함으로써 영업양수인의 권리를 보호했습니다. 다만, 경업금지 지역은 양도된 영업의 통상적 활동 범위를 고려하여 H시로 한정되었습니다.
이 사건에는 주로 상법상 영업양도인의 경업금지 의무에 관한 규정과 민사집행법상 간접강제에 관한 법리가 적용되었습니다.
비슷한 문제 상황에 처하게 된다면 다음 사항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