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민사사건
치과의사 A가 교통사고 피해자 G를 치료한 후, G의 버스 공제사업자인 B연합회가 해당 치료가 과잉 진료라며 진료비 반환을 요구하자, A 치과의사가 채무 부존재 확인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은 C심의회의 심사 결과와 법원의 진료기록 감정 결과를 바탕으로 A 치과의사의 치료가 적정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A 치과의사의 청구를 기각하며 B연합회의 손을 들어준 사건입니다.
2018년 8월 23일, G는 버스 교통사고를 당했습니다. 2018년 8월 27일, G는 원고 A가 운영하는 'F치과'에 내원하여 치아 흔들림과 턱 부상 증상을 호소했습니다. 2018년 8월 31일, 원고 A는 G의 상악 6개 치아에 대해 아탈구 진단 후 근관치료 및 보철물 수복 계획을 수립했으며, 하악 치아는 추가 경과 관찰하기로 했습니다. 2018년 9월 5일부터 9월 28일까지, 원고 A는 상악 6개, 하악 8개 등 총 14개 치아에 대해 근관치료 및 전장관 지르코니아 보철물 수복 치료를 진행했습니다. 9월 21일에는 교합안정장치 제작을 위한 인상채득을, 9월 28일에는 교합안정장치 장착을 시작했습니다. 2019년 3월경, 피고 B연합회는 C심의회에 원고 A의 치료 적정성에 대한 심사를 청구했습니다. 2020년 3월 19일, C심의회는 원고 A의 2018년 9월 5일부터 9월 21일까지의 치과 치료가 '외상 치아에 대해 초기 치료 없이 14개 치아에 대하여 근관치료 및 광중합형레진충전, 보철치료를 시행한 것은 적정 치료라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하며 8,892,970원을 부당 금액으로 조정하는 심사 결정을 내렸습니다. 2020년 3월 27일, C심의회의 결정이 원고 A에게 송달되었습니다. 2020년 4월 1일, 피고 B연합회는 원고 A에게 위 8,892,970원 및 심사청구비용 939,290원의 지급을 요구하는 내용증명을 발송했습니다. 이에 원고 A는 피고 B연합회에 대한 2020년 3월 19일 C심의회 결정에 기한 진료비 반환 채무는 존재하지 아니함을 확인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교통사고 피해자 G의 치과 치료비에 대해 원고 A 치과의사가 시행한 치료가 과잉 진료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이에 따른 진료비 반환 채무가 존재하는지 여부입니다.
원고 A의 청구를 기각하고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합니다. 즉, 원고 A 치과의사의 피고 B연합회에 대한 진료비 반환 채무가 존재함을 인정했습니다.
법원은 C심의회의 심사 결과와 H협회장의 진료기록 감정 결과를 종합하여 원고 A 치과의사의 치료가 적정한 치료라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특히, 외상 치아에 대해 초기 치료 없이 14개 치아에 대한 근관치료 및 보철치료를 시행한 것은 통상적인 치료 방법이 아니라고 보았으며, 임상경험이 풍부한 전문의들로 구성된 심의회와 감정의의 판단을 존중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의료행위의 적정성 및 과잉진료: 의료인은 환자에게 필요한 범위 내에서 적절한 의료행위를 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본 판례에서는 환자의 외상 상태에 비해 과도하게 많은 치아에 대해 초기 관찰 없이 근관치료와 보철치료를 시행한 것이 통상적인 치료 방법과 달라 '과잉 진료'로 판단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이는 의료인의 직업윤리 및 환자의 건강과 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한 원칙에 기반합니다. 진료비 청구 및 채무: 보험사나 공제사업자는 보험 계약에 따라 환자의 정당한 치료비를 지급할 의무가 있지만, 부당하거나 과잉 진료로 판단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지급을 거절하거나 이미 지급된 금액의 반환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본 사건에서는 C심의회의 심사 결과와 법원의 진료기록 감정 결과에 따라 원고 A 치과의사에게 진료비 반환 채무가 있다고 판단되었습니다. 이는 보험금 청구 및 지급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법리입니다. 전문기관의 판단 존중: 법원은 의료행위의 적정성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10년 이상의 임상경험을 가진 전문의들로 구성된 C심의회와 같은 전문기관의 심사 결과 및 H협회장과 같은 감정의의 의견을 중요하게 고려했습니다. 이는 의료행위의 전문성과 특수성을 고려하여,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이 내린 객관적인 판단을 존중하는 법원의 태도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전문기관의 판단은 사실관계를 확정하고 법리를 적용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됩니다.
의료기관의 경우: 교통사고 등으로 인한 외상 환자를 치료할 때는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관찰하고, 통상적인 치료 가이드라인에 따라 단계적으로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특히, 초기 외상 치료 없이 대규모 보철 치료나 근관 치료를 진행하는 경우, 과잉 진료로 판단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객관적인 의료 기록과 영상 자료를 통해 치료의 필요성과 적정성을 명확히 입증할 수 있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합니다. 보험사 또는 공제사업자의 경우: 의료비 심사를 청구할 때는 해당 심의회가 충분한 전문성과 객관성을 갖추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심의회의 전문위원 구성 기준 등 운영 규정을 참고하여 신뢰할 수 있는 심사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환자의 경우: 교통사고 등으로 치아 손상을 입었을 때, 치료 전 여러 의료기관에서 진단을 받아보고, 의사의 치료 계획이 본인의 상태에 적합한지 충분히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과도한 치료가 제안될 경우, 다른 의료진의 의견을 들어보는 '세컨드 오피니언'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인천지방법원 2021
제주지방법원 2020
청주지방법원 2022
서울중앙지방법원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