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민사사건
주식회사 B가 주식회사 F의 유체동산에 대한 가압류 결정을 받아 집행관에게 집행을 위임했으나 집행관이 이를 거부하자, 이에 대해 주식회사 B가 이의신청을 제기하여 법원이 집행관에게 가압류 집행을 실시하도록 명령한 사례입니다.
주식회사 B는 법원으로부터 주식회사 F의 유체동산에 대한 가압류 결정을 받았습니다. 이 결정을 토대로 대구지방법원 서부지원 소속 집행관 H에게 가압류 집행을 위임했지만, 집행관은 어떤 이유에서인지 그 집행을 거부했습니다. 이에 주식회사 B는 집행관의 이러한 거부 행위에 대해 법원에 이의신청을 제기하게 되었습니다.
집행관이 유체동산 가압류 집행 위임을 거부한 것이 정당한지 여부 및 이에 대한 이의신청의 인용 가능성입니다.
대구지방법원 서부지원 소속 집행관 H는 주식회사 B의 위임에 따라 유체동산 가압류 결정을 집행하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 즉, 법원은 신청인의 이의신청을 받아들여 집행관의 집행 거부가 부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법원은 신청인 주식회사 B의 주장이 이유 있다고 판단하여, 집행관에게 유체동산 가압류 집행을 실시하라고 결정했습니다.
이 사건은 민사집행법상 '집행에 관한 이의신청'과 관련이 있습니다. 민사집행법 제44조(집행에 관한 이의신청)는 집행절차에 관한 법원의 재판 외의 집행관의 처분, 그 밖에 집행관이 지켜야 할 집행절차에 관하여 이의신청을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집행관의 행위가 법률에 위배되거나 부당하다고 판단될 때, 이해관계인이 법원에 구제를 요청할 수 있는 절차입니다. 본 사례에서 법원은 신청인의 이의신청을 받아들여 집행관의 집행 거부가 부당하다고 보아, 집행관에게 가압류 집행을 실시하라는 결정을 내린 것입니다.
만약 법원의 가압류 결정이나 집행 명령이 내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집행관이 정당한 이유 없이 집행을 거부한다면, 당사자는 민사집행법에 따라 법원에 ‘집행에 관한 이의신청’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법원이 이의신청을 인용하면 집행관은 해당 집행을 진행해야 합니다. 따라서 집행 과정에서 부당한 거부가 발생할 경우, 법원의 공식적인 구제 절차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EA%B3%A0%ED%99%94%EC%A7%88.jpg&w=256&q=100)
청주지방법원 2021
부산지방법원 2020
서울중앙지방법원 2021
서울남부지방법원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