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민사사건 · 병역/군법
피고인은 아내 소유의 굴삭기를 담보로 대출을 받았으나 할부금을 상환하지 못하게 되자, 지인에게 굴삭기를 양도담보로 제공하여 피해 금융회사가 담보물의 소재를 파악하고 권리를 행사하는 것을 어렵게 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에게 형법상 권리행사방해죄를 적용하여 징역 4개월을 선고했습니다.
피고인 A는 2012년 4월 30일경, 처 V 소유의 볼보 굴삭기를 담보로 피해자 주식회사 X로부터 9,860만 원을 대출받았고, 60개월 동안 매월 2,027,630원을 상환하는 조건으로 채권최고액 9,860만 원의 근저당권을 설정했습니다. 피고인은 대출금을 12회까지 납입했으나 그 이후 더 이상 납입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던 중 2014년 가을, 피고인은 지인 Y으로부터 돈을 빌리면서 위 굴삭기를 양도담보로 건네주었습니다. 이로 인해 피해자 주식회사 X는 담보물인 굴삭기의 소재를 파악하기 어려워졌고, 이는 피해자의 권리행사를 방해하는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담보로 제공된 물건을 채무자의 임의로 처분하여 기존 채권자의 권리행사를 방해하는 행위가 형법상 권리행사방해죄에 해당하는지 여부
피고인 A에게 징역 4개월을 선고한다.
법원은 피고인이 대출 담보물인 굴삭기를 지인에게 다시 양도담보로 넘겨 기존 채권자인 금융회사의 권리행사를 방해한 점을 유죄로 인정하여 징역형을 선고했습니다. 이는 담보물에 대한 채권자의 권리가 침해되는 것을 막기 위한 법적 조치입니다. 피고인이 범행을 자백하고 일부 할부금을 납입한 점 등이 유리한 정상으로 고려되었으나, 미납 대금이 적지 않고 피해자와 합의되지 않은 점 등은 불리한 정상으로 작용하여 최종적으로 징역 4개월이 선고되었습니다.
이 사건에는 다음과 같은 법령과 법리가 적용되었습니다.
형법 제323조 (권리행사방해): 이 조항은 타인의 점유 또는 권리의 목적이 된 자기의 물건을 숨기거나 손상하여 타인의 권리행사를 방해한 자를 처벌합니다. 피고인 A는 처 소유의 굴삭기였지만 피고인이 대출 담보로 제공하고 실제 점유·사용했던 물건이므로 '자기의 물건'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를 지인에게 양도담보로 제공하여 은닉한 행위가 피해자 회사의 근저당권에 기한 권리행사를 방해한 것으로 판단되어 이 죄가 적용되었습니다.
형법 제37조 후단 및 제39조 제1항 (경합범): 피고인은 이미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위반(향정)죄로 징역 10월을 선고받아 확정된 전과가 있었습니다. 형법상 경합범이란 여러 개의 죄를 저지른 경우를 말하며, 특히 확정판결을 받은 죄와 아직 판결을 받지 않은 죄가 있는 경우에 법원은 확정된 전과와 새로운 죄 사이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형을 정하게 됩니다. 이 사건에서도 이전에 확정된 전과를 고려하여 양형에 반영되었습니다.
형법 제62조 제1항 (집행유예):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금고의 형을 선고할 경우, 여러 조건을 고려하여 형의 집행을 유예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법원은 이 사건에서 피고인에게 징역 4개월을 선고하면서 집행유예 가능성도 고려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실형을 선고했습니다.
소년법 제60조 제3항: 소년범에 대한 집행유예 등 특별한 조치를 규정하는 조항입니다. 일반적으로 소년이 아닌 경우 직접적으로 적용되지는 않지만, 형을 정하는 과정에서 소년법의 취지가 양형 조건의 하나로 참작될 수 있습니다.
형법 제51조 (양형의 조건): 법원이 형량을 정할 때 고려해야 할 여러 조건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피고인의 연령, 성행, 환경, 범행 동기, 수단과 결과, 범행 후의 정황 등 여러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참작되어 형이 결정됩니다. 이 사건에서도 피고인의 미납 대금, 합의 여부, 반성 여부, 납입액, 전과 등이 모두 고려되어 최종 형량이 결정되었습니다.
만약 담보 대출을 받은 후 할부금을 갚기 어려운 상황에 처했다면, 반드시 채권자인 금융회사와 상환 계획을 논의하거나 해결 방안을 찾아야 합니다. 담보로 제공된 물건을 채권자의 동의 없이 다른 사람에게 팔거나 다른 담보로 제공하거나 혹은 숨기는 행위는 법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형법상 '권리행사방해죄'에 해당하여 징역형이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담보물을 임의로 처분하여 발생한 손해에 대해서는 민사상 배상 책임도 질 수 있으므로, 어려움이 생기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거나 채권자와 협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광주지방법원 2017
청주지방법원 2020
수원지방법원안산지원 2020
울산지방법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