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방해/뇌물
피고인 A는 경매가 진행 중이던 공장에 대해 D 회사 명의로 허위의 유치권 신고서를 제출하여 경매의 공정을 해한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피고인 A는 공사도급계약서를 허위로 작성하고 이를 근거로 유치권을 신고했으나 실제 공사는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법원은 피고인 A에게 징역 4월에 집행유예 1년을 선고했습니다. 한편, 피고인 B은 A와 공모하여 허위 유치권 신고를 했다는 혐의를 받았으나, 공모 사실이 합리적 의심의 여지 없이 증명되지 않아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
주식회사 G 소유의 공장 용지에 대해 근저당권 실행을 위한 임의경매가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경매 절차가 진행되던 중, 피고인 A는 자신이 운영하는 D 주식회사가 G 공장의 전기, 소방, 통신 개수 및 태양광 발전 설비 공사를 총 16억 5,000만 원 상당으로 진행하는 것처럼 허위 공사도급계약서를 작성했습니다. 이 계약서를 첨부하여 2020년 7월 16일 경매 법원에 D 명의로 유치권 신고서를 제출했습니다. 그러나 D는 해당 공사를 실질적으로 진행한 바 없었으며, 경매 개시일까지 공장 용지를 점유하지도 않아 유치권이 성립할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이는 경매 목적물의 매수인에게 대항력 있는 유치권이 있는 것처럼 속여 경매의 공정을 방해하려는 의도로 이루어졌습니다.
경매가 진행 중인 부동산에 대해 허위로 유치권을 신고한 행위가 형법상 경매방해죄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관련 당사자가 해당 행위를 공모하였는지 여부
피고인 A는 징역 4월에 집행유예 1년을 선고받았습니다. 이는 경매절차의 공정을 해한 행위의 중대성과 허위 신고 금액의 상당함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다만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반성하며 실제 경매 지연이나 저가 낙찰 등의 결과가 발생하지 않았고 동종 전과가 없는 점 등이 유리한 정상으로 참작되었습니다. 피고인 B은 공소사실에 대한 증명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 B이 유치권 신고서 작성 및 제출에 구체적으로 관여했거나 A와 사전에 공모했다는 점이 합리적 의심을 배제할 정도로 증명되지 않았다고 판단했습니다.
법원은 허위 유치권 신고를 통해 경매의 공정을 해하려 한 피고인 A의 행위에 대해 유죄를 인정하며 유예된 징역형을 선고했습니다. 그러나 공동 피고인 B에 대해서는 공모 혐의를 입증할 충분한 증거가 없어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이는 경매 절차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저해하는 행위는 엄중히 처벌하지만, 공동 범행에 대한 증명은 명확해야 함을 보여주는 판결입니다.
형법 제315조 (경매방해): '위계 또는 위력 기타 방법으로 경매 또는 입찰의 공정을 해한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7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 A가 허위 공사도급계약서를 작성하고 이를 근거로 유치권을 신고한 행위는 '위계'를 사용하여 경매의 공정을 해하려 한 것으로 판단되어 이 조항이 적용되었습니다. 유치권 신고는 경매의 매각가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허위 신고는 경매 절차의 공정성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행위로 간주됩니다.
형법 제62조 제1항 (집행유예의 요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금고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의 형을 선고할 경우에 제51조의 사항을 참작하여 개전의 정상이 현저한 때에는 그 기간의 범위 내에서 형의 집행을 유예할 수 있다.' 피고인 A의 경우, 잘못을 인정하고 반성하는 태도, 실제 경매 지연 등의 결과가 없었던 점, 동종 전과가 없는 점 등이 고려되어 징역형의 집행이 유예되었습니다.
형사소송법 제325조 (무죄판결): '피고사건이 범죄로 되지 아니하거나 범죄사실의 증명이 없는 때에는 판결로 무죄를 선고하여야 한다.' 피고인 B의 경우, 검사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A와 공모하여 경매방해 행위를 했다는 점이 합리적 의심을 배제할 정도로 증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무죄가 선고되었습니다. 이는 형사 재판에서 피고인의 유죄를 입증하는 책임은 검사에게 있고, 의심스러운 경우 피고인에게 유리하게 판단해야 한다는 '의심스러울 때는 피고인의 이익으로'라는 원칙이 적용된 것입니다.
형법 제58조 제2항 (무죄판결 공시 예외):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하는 때에는 판결공시의 선고를 동시에 하여야 한다. 다만, 피고인의 명예를 훼복하기에 충분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피고인 B은 무죄를 선고받았으나, 피고인의 명예를 회복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하여 판결 요지를 공시하지 않았습니다.
경매 과정에서 유치권을 주장하려면 실제 공사를 진행하고 해당 부동산을 적법하게 점유했음을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허위의 공사 계약서 등을 근거로 유치권을 주장하는 것은 형법상 경매방해죄에 해당하여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경매의 공정성을 해치는 중대한 범죄로 간주됩니다. 유치권은 채권자가 해당 물건을 점유하면서 채무자에게 채무 변제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이므로, 점유 개시 시점과 실제 공사 여부가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공동으로 범죄를 저질렀다는 혐의를 받는 경우, 각자의 구체적인 역할과 공모 여부를 입증할 명확한 증거가 필요합니다. 증거가 부족하면 무죄 판결이 나올 수 있습니다. 경매 부동산 매수인은 유치권의 존재 여부와 그 정당성을 철저히 확인해야 합니다. 허위 유치권은 경매 방해뿐 아니라 매수인의 손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전주지방법원정읍지원 2022
창원지방법원 2019
춘천지방법원 2022
대구지방법원포항지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