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민사사건
주식회사 A는 주식회사 B에 물품을 공급했으나 대금을 받지 못했습니다. 이에 주식회사 A는 주식회사 B와 그 대표이사 C 그리고 공동 운영진으로 지목된 D, E를 상대로 미지급 물품대금 7,900만 원의 지급을 청구했습니다. 법원은 주식회사 B와 대표이사 C에 대해서는 소송에 대응하지 않아 주식회사 A의 주장을 인정한 '자백간주' 판결을 내렸습니다. 그러나 D와 E에 대해서는 이들이 주식회사 B를 통해 채무를 면탈하려 했다는 증거가 부족하다고 보아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주식회사 B와 C는 함께 주식회사 A에게 물품대금 7,900만 원과 지연이자를 지급해야 하며 D와 E는 책임이 없다는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원고 주식회사 A는 2020년 4월경 피고 회사인 주식회사 B와 물품 공급 계약을 맺고 물품을 공급했습니다. 하지만 주식회사 B는 물품대금을 지급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주식회사 A는 주식회사 B가 2020년 5월 19일 설립된 후 현재 영업을 하지 않는 점, 물품대금을 지급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다는 점 등을 들어 피고들이 채무를 면탈할 목적으로 회사를 설립하고 물품대금을 지급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따라서 주식회사 A는 주식회사 B와 대표이사 C, 그리고 공동 운영진으로 지목된 D, E 모두에게 공동불법행위 책임을 물어 물품대금 지급을 요구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주식회사 B와 대표이사 C가 원고에게 물품대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는지 여부. 둘째, 피고 D와 E가 주식회사 B의 운영진으로서 물품대금을 지급하지 않은 행위가 채무 면탈을 위한 공동불법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입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피고 주식회사 B와 C가 소송에 응하지 않아 원고의 주장을 인정하는 '자백간주' 판결을 내리며 7,900만 원의 물품대금과 지연이자를 공동으로 지급할 것을 명령했습니다. 반면 피고 D와 E에 대해서는 주식회사 B가 채무를 면탈할 목적으로 설립되었고 이들이 공동불법행위를 했다는 원고의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가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청구를 모두 기각했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주로 민사소송법상 '자백간주 판결'의 원칙이 적용되었습니다.
유사한 상황에서 아래 내용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울산지방법원 2020
대전지방법원홍성지원 2019
서울중앙지방법원 2022
대전지방법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