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성범죄 · 공무방해/뇌물
피고인 A, B, C는 아파트 청약 통장을 불법으로 매매하고 이를 이용해 부정하게 아파트 분양권을 취득하려 한 주택법 위반 및 업무방해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특히 피고인 C은 이와 별개로 카메라등이용촬영물을 소지하고 유포한 성폭력범죄 혐의도 받았습니다. 항소심에서 피고인 A은 범행을 자백하고 피해 회사에 3,000만 원을 공탁하여 형량이 원심 징역 2년 6월에서 징역 2년 4월로 감경되었고, 추징금 5,500만 원이 선고되었습니다. 피고인 B은 주택법 위반 사건의 총책임자로 인정되어 항소가 기각되었으며 원심 형량인 징역 2년 6월이 유지되었습니다. 피고인 C은 원심에서 확정된 마약류관리법 위반죄와 주택법 위반 등 다른 범죄들이 형법상 경합범 처리 법리를 오해하여 하나의 형으로 선고되었다는 주장이 받아들여져 원심 판결이 파기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C에게는 주택법위반 등 혐의에 대해 징역 1년과 추징금 1억 원이, 성폭력범죄 혐의에 대해 징역 6월과 40시간의 성폭력 치료프로그램 이수 명령이 각각 선고되었습니다. C에 대한 신상정보 공개·고지 및 취업제한 명령은 면제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아파트 청약 통장을 불법으로 매매하고 이를 이용하여 아파트 분양권을 부정하게 취득하여 이익을 얻으려 한 조직적인 범죄 행위와 관련이 있습니다. 피고인들은 청약 관련 서류를 매입하고 청약 통장 가입자 명의로 아파트 청약을 신청하여 분양권을 당첨받은 후, 이를 시세보다 높은 가격에 전매하여 차익을 얻으려는 방식으로 주택 공급 질서를 교란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피고인 A, B, C는 각자의 역할을 분담하여 이 범행에 가담했습니다. 특히 피고인 B는 이 사건 부정 청약 범행의 총책 역할을 하였고, 피고인 C은 청약 통장 명의자를 만나 서류를 전달받는 등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이와 별도로 피고인 C은 타인의 성적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신체를 불법으로 촬영하고, 해당 촬영물을 소지 및 유포한 성폭력 범죄도 저질러, 피해자들에게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주었습니다.
이번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피고인 A에 대한 검사의 부정청약 공모 혐의 무죄 판단에 대한 법리오해 및 사실오인 여부, 그리고 A의 양형 부당 주장입니다. 둘째, 피고인 B이 부정청약 사건의 총책 역할을 하였는지 여부 및 B의 양형 부당 주장입니다. 셋째, 피고인 C이 주택법 위반 관련 '광고행위' 및 '부정청약'에 직접 관여하지 않았다는 주장, 추징금 1억 원 산정의 적법성 여부, 그리고 과거 확정된 죄와 현재 사건들의 형법상 경합범 처리 법리 오해 여부입니다. 넷째, 피고인 C의 성폭력범죄 관련 범행일시 특정 오류 주장 및 자수 감경 불인정 주장의 타당성 여부, 그리고 C에 대한 양형 부당 주장입니다. 다섯째, 검사가 주장한 피고인 A의 무죄 부분에 대한 법리오해 및 사실오인 여부와 A 및 C에 대한 양형 부당 주장입니다.
항소심 재판부는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이번 판결에서 재판부는 주택법 위반으로 주택 공급 질서를 교란하고 일반인에게 피해를 입힌 행위의 중대성을 다시 한번 확인했습니다. 피고인 A은 범행을 자백하고 피해 회사에 공탁하는 등 반성하는 태도를 보인 점이 참작되어 형이 다소 감경되었습니다. 피고인 B은 주택법 위반 사건의 총책 역할이 인정되어 원심과 동일한 형이 유지되었습니다. 피고인 C의 경우, 과거 확정된 마약류관리법 위반죄와 이 사건 주택법 위반 등 범죄들을 형법상 경합범 처리 법리에 따라 분리하여 선고해야 한다는 주장이 받아들여져 원심 판결이 파기되고 각 사건에 대해 개별적으로 형이 정해졌습니다. 또한 C이 저지른 카메라 불법 촬영 범죄는 피해자에게 돌이킬 수 없는 피해와 극심한 고통을 준다는 점이 강조되었으나, 신상정보 공개·고지 및 취업제한 명령은 여러 사정을 고려하여 면제되었습니다. C은 성폭력 범죄로 유죄 판결이 확정됨에 따라 신상정보 등록 대상자가 되어 관련 정보를 제출할 의무를 지게 됩니다.
이 사건 판결에는 다음과 같은 법률과 법리가 적용되었습니다.
1. 주택법 위반 및 업무방해 관련:
2. 성폭력범죄 관련:
3. 범죄 수익 환수 관련:
4. 형의 결정 및 처리 관련:
만약 이와 유사한 문제 상황에 처하게 된다면 다음 사항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1. 주택법 위반 관련:
2. 성폭력범죄 관련:
3. 법리 적용 관련:
서울서부지방법원 2020
울산지방법원 2020
서울중앙지방법원 2023
대법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