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민사사건 · 병역/군법
피고인 A는 동업자 B를 부동산 횡령 혐의로 고소했으나 검찰은 피고인 A가 허위 사실을 신고하여 무고했다고 기소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 A의 고소 내용이 완전히 거짓이 아니고 과장된 부분은 있지만 허위라는 인식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며 무고죄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피고인 A와 피해자 B는 요양원 신축 및 분양을 위한 동업 관계였습니다. 동업 과정에서 F, I, K 등의 토지를 매입하거나 소유권 이전등기를 했습니다. 피고인 A는 2019년 12월경 피해자 B가 자신의 동의 없이 위 토지들의 소유권을 H, L 등에게 이전하여 횡령했다고 주장하며 고소장을 작성하여 제출했습니다. 그러나 검찰은 피고인이 이 소유권 이전등기에 미리 합의했음에도 B를 무고했다고 기소했습니다. 피고인은 동의한 적이 없으며 피해자가 횡령했다고 판단하여 고소한 것이므로 무고의 고의가 없었다고 주장했습니다.
피고인이 동업자 B를 횡령 혐의로 고소한 내용이 무고죄에 해당하는 허위 사실 신고인지, 그리고 피고인에게 고소 내용이 허위라는 인식이 있었는지 여부입니다.
피고인은 무죄로 선고되었습니다. 법원은 무죄 판결의 요지를 공시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이 고소한 내용이 전혀 터무니없는 허위 사실이 아니라 사실에 기초하여 정황을 다소 과장한 것이며, 피고인에게 고소 내용이 허위라는 인식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무고죄의 고의를 인정하기 어렵다고 보아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형법 제156조(무고)는 '타인으로 하여금 형사처분 또는 징계처분을 받게 할 목적으로 공무소 또는 공무원에 대하여 허위의 사실을 신고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 검찰은 피고인 A가 위 조항을 위반하여 B를 무고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무고죄가 성립하려면 신고 내용이 '객관적 사실에 반하는 허위'여야 하며 신고자가 그 사실이 허위임을 '확정적으로 또는 미필적으로 인식'하고 신고했어야 합니다. 즉 단순히 고소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고 해서 무고죄가 되는 것이 아니라 고소한 사람이 그것이 거짓임을 알면서도 고소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고소 내용이 완전히 거짓이 아니고 사실에 기반하여 다소 과장된 정도라면 무고죄가 성립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형사소송법 제325조 후단(무죄 판결)은 '피고사건이 범죄로 되지 아니하거나 범죄사실의 증명이 없는 때에는 판결로 무죄를 선고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피고인의 행위가 무고죄의 성립 요건인 '허위성에 대한 인식(고의)'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보았으므로 범죄사실의 증명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무죄가 선고되었습니다.
동업 계약 시 부동산 소유권 이전 및 자금 정산 방식은 구체적으로 서면으로 명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두 합의는 추후 분쟁 발생 시 입증이 어렵습니다. 부동산 명의 신탁이나 타인 명의로의 소유권 이전이 필요한 경우 그 목적과 절차 그리고 정산 방식에 대해 모든 당사자의 명확한 동의를 문서화해야 합니다. 자신이 억울하다고 생각하더라도 상대방을 고소하기 전에 고소 내용이 객관적인 사실에 부합하는지 그리고 허위 사실이 아님을 입증할 충분한 증거가 있는지 신중하게 검토해야 합니다. 터무니없는 허위 사실을 신고하는 경우 무고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복잡한 동업 관계나 부동산 거래에서는 모든 중요한 결정과 자금 흐름에 대한 기록을 철저히 남겨야 합니다.

수원지방법원평택지원 2018
서울서부지방법원 2020
대전지방법원홍성지원 2019
창원지방법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