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형사사건 · 금융
주식회사 E의 부회장 D과 주식회사 R의 2대 주주 A가 각각 다른 목적으로 주식 브로커 B에게 주가 부양을 의뢰했습니다. B는 유명 증권방송 전문가 C를 끌어들여 두 회사의 주식을 허위 또는 과장된 호재성 정보와 대가성 추천으로 회원들에게 매수 권유하도록 했습니다. 이로 인해 주가가 인위적으로 상승했고, 피고인들은 자본시장법상 사기적 부정거래 및 시세조종 행위로 기소되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들 모두에게 유죄를 선고하며 징역형과 벌금형을 부과하고, 일부 피고인들에게는 불법 이득에 대한 추징을 명령했습니다.
이 사건은 두 가지 주가 부양 공모로 나뉩니다.
1. 주식회사 E 주가 부양 사건 (D, B, C의 공동범행)
2. 주식회사 R 주가 부양 사건 (A, B, C의 공동범행)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피고인들이 증권방송 전문가를 이용해 허위·과장 정보를 유포하고 대가성 주식 추천을 한 행위가 자본시장법상 사기적 부정거래 및 시세조종 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입니다. 둘째, 피고인들 간의 주가조작 공모가 있었는지, 그리고 각 피고인이 범행에서 수행한 역할의 정도가 무엇인지입니다. 셋째, 주가 부양으로 인해 얻은 '부당이득액'을 정확히 산정할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특히, 다른 시장 요인이 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경우, 특정 범죄 행위로 인한 이득만을 구분하여 산정하는 것이 가능한지가 중요한 쟁점이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들 모두에게 유죄를 인정하고 다음과 같이 선고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들이 자본시장법을 위반하여 부정한 수단으로 주가를 인위적으로 조작한 사실을 인정하고 중형을 선고했습니다. 특히 증권방송 전문가가 자신의 영향력을 이용해 대가성 추천을 한 행위는 자본시장의 신뢰를 크게 훼손하는 중대한 범죄임을 강조했습니다. 다만, 주가조작으로 인한 정확한 부당이득액 산정이 어려운 경우에는 형사법의 책임주의 원칙에 따라 엄격하게 판단해야 한다는 법리도 함께 적용되었습니다.
이 사건에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문제 상황에 직면했을 때 다음 사항들을 참고하세요.
서울남부지방법원 2018
서울남부지방법원 2019
서울남부지방법원 2015
서울고등법원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