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민사사건
원고 A는 피고 D에게 게임기를 임대하고 대여료를 청구하였으나 피고 D는 게임기 인도 및 관련 금액을 반소로 청구하였습니다. 항소심 법원은 원고 A가 피고 D에게 특정 게임기 100대를 인도하고 1억 4백7십5만 원을 지급해야 한다고 판단하였으며 원고 A의 본소 청구는 기각하는 등으로 제1심 판결을 변경하였습니다.
원고 A는 2018년 8월 28일 피고 D에게 게임기를 1일 1대당 3,000원의 임대료를 받고 임대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같은 해 9월 2일 게임기를 인도했습니다. 피고 D는 같은 날 원고 A의 동생 F으로부터 L게임랜드를 매매대금 6억 원에 양수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 2억 원을 지급했으며 나머지 4억 원은 약속어음으로 발행했습니다. 이후 2018년 10월 11일 원고 A는 피고 D와 게임기 임대차 변경계약을 체결하여 조건이 변경되었으나 이 변경 계약의 효력 및 내용 해석 차이로 분쟁이 발생하여 소송으로 이어졌습니다.
게임기 임대차 계약의 유효성 변경 계약 조항의 해석 특히 임대차 변경계약 제8조의 통정허위표시 여부 그리고 이에 따른 게임기 대여료 및 게임기 인도의무와 손해배상 범위입니다.
항소심 법원은 제1심 판결 중 반소 부분을 변경하여 원고 A가 피고 D에게 J 게임기 100대를 인도하고 104,750,000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2020. 3. 7.부터 2022. 7. 8.까지는 연 5% 그 다음 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는 연 12%)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피고 D의 나머지 반소청구는 기각되었습니다. 본소에 관한 원고 A와 피고 D의 각 항소는 모두 기각되어 원고 A의 게임기 대여료 청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항소심 법원은 원고 A가 피고 D에게 J 게임기 100대와 약 1억 4백7십5만 원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최종적으로 판단했습니다. 본소인 원고 A의 게임기 대여료 청구는 기각되어 원고는 대여료를 받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주로 민사소송 절차와 계약의 효력 및 해석에 관한 법리가 적용되었습니다.
계약 시에는 관련 당사자들의 관계와 계약의 목적을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형제 관계 등 특수 관계인이 개입된 계약은 추후 분쟁 발생 시 계약의 진정성을 두고 다툼이 생길 수 있으므로 더욱 신중해야 합니다. 계약 변경 시에는 변경된 내용뿐 아니라 기존 계약과의 연관성 변경의 목적 등을 상세하게 기록하여 불필요한 오해를 방지해야 합니다. 금액이 큰 부동산이나 사업체 양수도 계약과 관련된 부수 계약(예: 게임기 임대차 계약)의 경우 주 계약과 부수 계약 간의 연관성을 명확히 하여 혼란을 줄여야 합니다. 계약 내용이 당사자의 진정한 의사와 다른 것으로 의심될 수 있는 상황에서는(예: 통정허위표시) 그 배경과 합의 내용을 철저히 문서화하고 객관적인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울중앙지방법원 2021
수원지방법원평택지원 2020
서울남부지방법원 2019
광주지방법원목포지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