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약금 · 기타 금전문제
원고는 피고에게 2018년 12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채묘망 등 물품을 공급하고 대금을 받았으나, 미지급된 물품대금 19,983,100원이 남았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반면 피고는 원고가 주장하는 금액보다 적은 물품만 공급받았고, 오히려 원고에게 19,116,900원을 초과하여 지급했으므로 이를 부당이득으로 돌려받아야 한다며 반소 청구를 했습니다. 법원은 원고가 주장하는 대로 총 190,299,100원 상당의 물품을 공급한 사실을 인정하고, 피고가 원고에게 미지급 물품대금 19,983,100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으며, 피고의 반소 청구는 기각했습니다.
원고는 2018년 12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피고에게 채묘망 등의 물품을 공급했습니다. 원고는 총 190,299,100원 상당의 물품을 공급했으며, 피고로부터 170,000,000원을 지급받아 19,983,100원이 미지급된 잔액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원고는 이를 입증하기 위해 피고에게 발송했던 '거래처원장' 문자메시지 등 증거를 제시했습니다. 이에 대해 피고는 원고가 주장하는 금액보다 적은 150,913,100원 상당의 물품만 공급받았다고 주장하며, 이미 지급한 170,000,000원 중 19,116,900원이 초과 지급된 부당이득이므로 이를 반환하라고 반소 청구를 제기했습니다. 피고는 거래처원장 문자메시지를 수신하거나 확인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으며, 2022년 7월 18일에 지급한 20,000,000원은 선급금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은 원고가 피고에게 2018년 12월 7일부터 2020년 12월 21일까지 총 190,299,100원 상당의 물품을 공급했다는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피고가 원고 측에서 보낸 거래처원장 문자메시지를 확인했다고 보는 것이 합당하다고 판단했고, 2022년 7월 18일 2,000만 원을 지급할 때 물품대금 잔액을 확인하지 않았다는 것은 이례적이라고 보았습니다. 또한, 피고가 물품대금 분쟁 없이 거래를 중단했다가 2022년 7월 18일 선급금 명목으로 돈을 지급했다고 주장하면서도, 이후 물품 공급을 요구하거나 선급금 반환을 요구한 자료가 없다는 점을 들어 피고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이에 따라 원고가 주장한 미지급 물품대금 19,983,100원과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의 지급을 명하고, 피고의 부당이득 반환 반소 청구는 기각했습니다.
물품대금 지급 의무 및 증명 책임: 물품을 공급받은 사람은 그 대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습니다. 법원은 원고가 피고에게 물품을 공급하고 그 대금을 청구할 권리가 있는지, 그리고 피고가 이미 대금을 지급했는지 여부를 판단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원고가 제시한 '거래처원장' 및 문자메시지 발송 내역 등이 물품 공급 사실과 미지급 잔액을 증명하는 중요한 증거로 인정되었습니다. 부당이득 반환 청구 (민법 제741조): 어떤 사람이 법률상 원인 없이 다른 사람의 재산이나 노무로 인해 이득을 얻고, 이로 인해 다른 사람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 이득을 얻은 사람은 그 이득을 반환할 의무가 있습니다. 피고는 원고에게 초과 지급한 물품대금이 부당이득에 해당한다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원고가 정당한 물품대금 채권이 있었으므로 피고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지연손해금 (상법 제54조,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 제3조): 상인 간의 상행위로 인한 채무에 대해서는 특별한 약정이 없어도 법정 이율이 적용되며, 이행 지체 시에는 지연손해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상법상 상행위로 인한 채무의 법정 이율은 연 6%입니다. 또한, 소송이 제기되어 판결 선고일 이후에도 금전 채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에 따라 연 12%의 더 높은 지연손해금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2022년 7월 29일부터 판결 선고일인 2025년 5월 28일까지는 상법에 따른 연 6%, 그 다음 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는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에 따른 연 12%의 지연손해금 지급이 명해졌습니다.
물품 거래 시에는 반드시 상세한 거래 내역을 기록하고 보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거래처원장, 거래명세표 등은 거래 관계를 증명하는 핵심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거래 내용을 문자메시지나 이메일 등 디지털 방식으로 주고받는 경우에도 해당 기록을 삭제하지 않고 잘 보관해야 합니다. 이는 법적 분쟁 발생 시 중요한 증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채무 확인이나 대금 지급 시에는 반드시 거래 내역의 잔액을 상호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는 것이 분쟁을 예방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선급금을 지급하거나 받을 때에는 그 목적과 조건을 명확히 문서화하여 향후 오해의 소지를 없애야 합니다. 오랜 기간 거래를 해온 관계라도 대금 분쟁이 발생하면 과거의 모든 거래 내역을 꼼꼼히 재검토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