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대차
세입자 C가 집주인 B에게 임대차 보증금 2,000만 원과 지연 이자를 돌려받기 위해 소송을 제기하여 승소한 사건입니다.
임대차 계약이 종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임대인(집주인)이 임차인(세입자)에게 임대차 보증금 2,000만 원을 돌려주지 않아, 세입자가 이를 반환받기 위해 법원에 소송을 제기한 상황입니다.
임대차 계약이 종료된 후 임대인(집주인)이 임차인(세입자)에게 임대차 보증금을 적시에 반환해야 하는 의무가 있는지 여부입니다.
법원은 피고(집주인) B는 원고(세입자) C에게 임대차 보증금 2,000만 원을 지급하고, 이에 대해 2019년 4월 18일부터 2019년 5월 31일까지는 연 15%, 그 다음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는 연 12%의 이자를 더하여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또한 소송 비용은 피고가 부담하며, 이 판결은 가집행할 수 있다고 결정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임차인 C는 임대인 B로부터 미반환된 임대차 보증금과 이에 대한 지연 이자를 성공적으로 돌려받게 되었습니다.
임대차 계약 종료 시 임대인(집주인)은 임차인(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줄 의무가 있습니다. 만약 이를 지체할 경우, 민법 제618조와 제623조에 따라 보증금에 대한 지연 이자를 추가로 지급해야 합니다. 특히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 제3조에 따라 일정 기간이 지나면 법정 이율보다 높은 지연 손해금 이율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 판결에서 법원은 피고가 보증금 반환을 지연한 것에 대해 특정 기간 동안 연 15%, 이후에는 연 12%의 이율을 적용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반환 의무를 강조했습니다.
유사한 상황에서는 임대차 계약서, 보증금 지급 내역, 계약 해지 통보 등 관련된 모든 서류와 증거를 철저히 보관해야 합니다. 임대차 보증금 반환이 지연될 경우, 지연 이자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관련 법률에 따른 이자율을 미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용증명 등을 통해 보증금 반환을 정식으로 요청한 기록을 남기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