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 · 기타 금전문제 · 기타 민사사건
이 사건은 원고 회사와 피고의 회사 합병 및 공동경영 청산 과정에서 발생한 여러 계약과 관련된 분쟁입니다. 법원은 원고의 장부에 기재된 피고에 대한 가지급금 채권은 실질적인 변제 의무가 없는 형식상의 채무로 보았고, 가지급금 상계 처리를 위해 체결된 특허권 양도계약은 통정한 허위의 의사표시로 무효라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원고의 특허권 양수대금 반환 청구는 기각되었습니다. 한편 피고의 반소 청구 중, 원고 직원의 소송 관련 공탁금 대여금 5천만 원은 인정되었고, 지분 양수대금의 분할 지급 수단으로 체결된 컨설팅 위임계약에 대해 원고가 이행을 거절한 것이라 보아 원고(보증인)는 피고에게 미지급 보수 및 손해배상액 8억 8천만 원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원고는 피고에게 총 9억 3천만 원과 지연손해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캐나다 법인 G 주식회사가 한국에 설립한 원고 A 유한회사와 피고 D가 운영하던 주식회사 P이 합병을 진행하며, 피고는 원고의 공동대표이사가 되었습니다. 합병 후 원고의 회계장부에는 피고에 대한 가지급금 채권 약 20억 4천만 원이 계상되었고, 이 중 약 1억 5천 4백만 원은 피고가 공동소유한 특허권 양도계약 대금과 상계 처리되었습니다. 이후 H(G 주식회사 대표이자 원고 공동대표)와 피고는 공동경영을 청산하기로 합의하고, 이 사건 회사가 피고의 원고 지분을 인수하는 지분 양도 계약과 동시에 피고를 자문 컨설턴트로 위촉하는 컨설팅 위임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원고는 피고가 특허권 이전 의무를 불이행했다며 특허권 양도계약 해제 및 양수대금 반환 또는 가지급금 채권 지급을 본소로 청구했습니다. 이에 맞서 피고는 원고에게 J회계법인 실사 용역비, M 사건 관련 공탁금 대여금, R(주) 보증채무 사전구상금, 지방소득세, 컨설팅 위임계약상 보수 및 손해배상금 지급을 반소로 청구하며 복잡한 법적 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원은 원고와 피고 사이의 복잡한 경영권 및 채무 정산 과정에서 발생한 여러 쟁점에 대해 개별적으로 판단했습니다. 가지급금 채권과 특허권 양도 계약은 실체가 없다고 보아 원고의 본소 청구를 기각했으며, 피고가 주장한 J회계법인 용역비, 사전구상권, 지방소득세에 대해서도 원고의 책임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피고가 M 사건 관련으로 원고에게 대여한 5천만 원과, 실질적으로 지분 양수대금의 분할 지급 수단이었던 컨설팅 위임계약의 미지급 보수 및 손해배상액 8억 8천만 원에 대해서는 원고가 지급할 책임이 있다고 판단하여, 총 9억 3천만 원을 피고에게 지급하라고 명령했습니다. 이는 계약의 형식보다는 실제 의도와 목적을 중시한 판결입니다.
이 사건 판결에서는 다음과 같은 법령과 법리들이 주요하게 적용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