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대차 · 행정
식당을 운영하는 임차인 A는 임대인 B종중과 임대차 계약을 맺고 영업을 해오다 계약이 묵시적으로 갱신되었습니다. 임대인 B종중이 건물 노후화 및 재건축을 이유로 임대차 계약 해지를 통보하자, 임차인 A는 이 해지 통보의 무효 확인을 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그러나 임대인 B종중은 소송 제기 후 해지 통보를 철회하고 임대차 계약을 유지하겠다는 의사를 밝혔고, 이에 법원은 임차인 A의 소송에 '확인의 이익'이 없다고 보아 소를 각하했습니다.
임차인 A는 2022년 9월 26일 임대인 B종중과 보증금 2천만 원, 월차임 125만 원에 임대차 계약을 맺고 식당 영업을 시작했습니다. 2023년 10월 12일 임대차 기간이 만료된 후 계약은 묵시적으로 갱신되었습니다. 그러나 2024년 12월 12일 임대인 B종중은 '건물 노후화에 따른 재건축 필요성'을 이유로 2025년 5월 말까지 영업 종료 및 사업체 이전을 요청하는 내용의 임대차 계약 해지 통보를 내용증명으로 보냈습니다. 이에 임차인 A는 임대차 계약 해지 사유가 없음에도 해지 통보를 받자 임차인으로서의 법률상 지위에 불안을 느껴 2024년 12월 23일 이 사건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소송이 진행되던 중 임대인 B종중은 2025년 1월 31일 해지 통보를 철회하고 임대차 계약을 유지하겠다는 내용증명을 보냈습니다.
임대인이 임대차 계약 해지 통보를 했다가 소송 도중에 이를 철회한 경우, 임차인이 제기한 '해지 무효 확인' 소송에 법률적으로 보호받을 '확인의 이익'이 여전히 존재하는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원고의 소를 각하한다.
법원은 임대인 B종중이 임대차 계약 해지 통보를 철회하고 계약 유지 의사를 명확히 밝힘으로써 임차인 A의 임차인 지위에 현존하는 불안이나 위험이 사라졌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더 이상 해지 통보의 무효를 확인할 법률상 이익이 없다고 보아 원고의 소송을 각하했습니다. 소송비용은 원고와 피고가 각각 9/10, 1/10을 부담하도록 결정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주로 '확인의 이익'과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의 적용 여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확인의 이익 (권리보호요건): 확인의 소(어떤 법률 관계의 유무를 확인해 달라고 청구하는 소송)를 제기하려면 원고에게 '확인의 이익'이 있어야 합니다. 이는 원고의 권리나 법률적 지위에 현재 불안이나 위험이 있고, 이 불안이나 위험을 제거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법원의 확인 판결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임대인이 해지 통보를 철회함으로써 임차인의 법률적 지위에 대한 불안이 해소되었으므로, 법원은 더 이상 확인할 이익이 없다고 판단하여 소를 각하했습니다.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0조 제1항 제7호: 이 법 조항은 임대인이 임차인의 계약 갱신 요구를 거절할 수 있는 사유 중 하나로 '건물이 노후·훼손되거나 다른 법령에 따라 철거 또는 재건축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들고 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이 조항이 '계약 갱신 거절'의 사유가 될 뿐, 임대인이 일방적으로 '임대차 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법적 근거는 아니라고 보았습니다. 즉, 건물의 노후화나 재건축 계획만으로 현재 유효한 임대차 계약을 즉시 해지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민사소송법 제99조 (소송비용 부담의 원칙): 민사소송법 제99조는 소송의 중간에 당사자가 합의 등으로 소송이 종료되거나 법원이 각하 또는 취하하는 경우 소송비용을 누가 부담할 것인지를 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원고가 소를 제기한 경위와 소송 진행 과정을 고려하여 피고가 소송비용의 1/10을, 원고가 9/10를 부담하도록 결정했습니다.
임대차 계약 관련 분쟁 시, 임대차 계약 해지 통보를 받더라도 그 사유가 법적으로 타당한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건물의 노후화나 재건축 계획만으로는 임차인의 갱신 요구권을 거절하거나 계약을 일방적으로 해지할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확인의 이익'은 소송 제기의 중요한 요건입니다. 상대방이 소송 도중 자신의 주장을 철회하거나 분쟁의 원인이 해소된다면, 이미 발생한 사실에 대해 법원의 판단을 구하는 것이 무의미해져 소송 자체가 각하될 수 있습니다.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 분쟁 발생 시, 명확한 의사표현과 통보 철회 여부를 명확히 하여 불필요한 법적 다툼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내용증명은 의사표현의 증거가 되므로 신중하게 작성하고 보관해야 합니다.
_2009%EB%85%84.jpg&w=256&q=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