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인특례시 처인구청이 드디어 노후된 청사에서 벗어나 새 건물을 신축해 이전할 계획을 본격 추진합니다. 1982년에 지어진 청사는 벌써 40년이 넘는 세월을 견뎌왔는데요, 구조적 안전성 문제와 공간 부족으로 시민들의 불편 민원이 계속됐어요. 지난 2007년에 정밀안전진단 결과 최하위 등급인 'D등급' 판정을 받았고, 공간 부족 문제까지 겹쳐 주차와 사무실 공간이 부족한 악순환이 계속된 겁니다. 이렇게 시설이 낡고 협소하면 법적 책임 문제도 발생할 수 있어서 지자체 입장에서도 빨리 개선하고 싶은 상황이었죠.
2010년대 초만 해도 공공청사 건축이 정부 규제로 어렵고 재정 여건도 좋지 않아 많은 지자체가 막막했어요. 용인시도 그런 사정에 부딪혀 처인구청 신축을 잠시 접었지만 2021년부터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아울러 시민 설문과 지역 토론회를 거쳐 주민 의견을 수렴한 결과 리모델링보다는 새 청사를 이전해 짓는 게 효율적이라는 결론이 나왔어요.
신축 후보지는 기존 시청 근처가 아니라 무려 종합운동장 부지랍니다. 여기엔 처인구청뿐 아니라 보건소, 상수도사업소, 푸른공원사업소 등 여러 공공시설을 복합화해 시민 편의를 크게 높이고 운영 효율도 올릴 계획입니다. 신축 청사 내부는 주민 의견을 반영한 공간으로 꾸며진다니 기대를 해도 좋겠죠?
2025년 행정안전부에 타당성 조사를 의뢰하면서 사업의 첫걸음을 뗐습니다. 이후 지방재정 투자심사와 각종 행정절차를 거쳐 2028년에 착공, 2032년에 준공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꽤 긴 시간이 걸리지만 공공청사라는 말처럼 '공공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을 필요가 있으니까요.
오래된 행정시설을 단순히 고치는 수준으로 끝내려다 보면 공간 부족과 안전 문제, 심지어 법적 분쟁까지 초래할 수 있어요. 따라서 주민 의견을 충분히 듣고,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해 새롭게 지어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라는 점을 이번 용인시 사례에서 다시금 확인할 수 있습니다.
궁금한 점은 있습니다. 새 시설에 관한 계약 과정과 예산 사용이 투명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결국 시민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겠죠. 그래서 이러한 대규모 공공사업은 행정 절차의 투명성과 시민의 권리 보장이 뒤따라야 한다는 점, 잊지 말아야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