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민사사건
주식회사 C의 주주 A가 발행주식 총수의 3% 이상을 보유한 소수 주주로서 회사 공동대표이사들에게 특정 안건에 대한 임시주주총회 소집을 요구했으나 거부당하자, 법원에 소집 허가를 신청한 사건입니다. 법원은 A 주주의 소집 요구 요건이 충족되었음을 인정하며 임시주주총회 소집을 허가했고, 회사 측이 주장한 권리남용 주장은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주식회사 C의 주주 A는 2017년 7월 3일 회사 공동대표이사 D, E에게 특정 안건을 위한 임시주주총회 소집을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주식회사 C는 2017년 7월 10일 소집의 필요성이 없다는 이유로 A의 요청을 거부했습니다. 이에 A는 법원에 임시주주총회 소집 허가를 신청했고, 주식회사 C는 A가 회사 자금을 횡령한 사실을 은폐하고 회사를 청산하려는 목적으로 소집을 요구하는 것이므로 권리남용에 해당한다고 주장하며 법원에 소집 불허를 요청했습니다.
소수 주주가 상법상 요건을 갖추어 임시주주총회 소집을 요구했음에도 회사가 이를 거부했을 때, 법원이 임시주주총회 소집을 허가할 수 있는지 여부와 회사의 권리남용 주장이 타당한지 여부입니다.
법원은 신청인이 요청한 회의 목적 사항에 대해 사건본인 회사의 임시주주총회 소집을 허가하고, 임시주주총회 의장은 신청인으로 결정했습니다.
법원은 신청인 A가 주식회사 C의 발행주식 총수 100분의 3 이상을 보유한 주주로서 상법 제366조 제1항의 요건을 충족했으며, 공동대표이사들에게 임시주주총회 소집을 요구했으나 거부당한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사건본인 측의 '권리남용' 주장에 대해서는, 소집허가 신청이 객관적으로 실익이 없거나 회사에 유해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 명백한 경우가 아니라는 이유로 받아들이지 않아 임시주주총회 소집을 허가했습니다.
상법 제366조 (소수주주의 소집청구): 제1항: 발행주식 총수의 100분의 3 이상에 해당하는 주식을 가진 주주는 회의의 목적사항과 소집의 이유를 기재한 서면을 이사회에 제출하여 임시총회 소집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 신청인 A는 주식회사 C의 발행주식 총수 10,000주 중 2,500주(25%)를 보유하고 있었으므로, 상법에서 정한 3% 요건을 충분히 충족했습니다. A는 이사회(공동대표이사 D, E)에 임시주주총회 소집을 요구했으나 거부당했습니다. 제2항: 제1항의 청구가 있은 후 1개월 내에 이사가 총회 소집의 절차를 밟지 아니한 때에는 청구한 주주는 법원의 허가를 얻어 총회를 소집할 수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 A는 소집 요구 후 회사가 1개월 이내에 소집 절차를 밟지 않자 법원에 임시주주총회 소집 허가를 신청했고, 법원은 이를 받아들여 상법 제366조 제2항, 제1항에 따라 소집을 허가했습니다. 이는 소수 주주가 회사의 경영진이 주주총회 소집에 소극적일 때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고 회사 경영에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중요한 법적 장치입니다. 권리남용의 법리: 법원은 소수 주주의 임시주주총회 소집 허가 신청이 '권리남용'에 해당하는 경우 이를 불허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여기서 권리남용은 객관적으로 총회 소집의 실익이 없거나, 소집 허가가 회사에 더욱 복잡하고 심각한 법적 분쟁을 야기하여 유해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 명백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 사건에서 법원은 주식회사 C 측이 A의 횡령 사실 은폐 및 회사 청산 목적을 주장했으나, 이를 인정할 만한 증거가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권리남용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즉, 단순히 회사 경영진이 주주의 의도에 불만을 가졌다고 해서 권리남용으로 볼 수는 없다는 입장입니다.
주식회사의 주주총회는 회사의 중요한 의사결정 기관입니다. 총 발행주식 수의 3% 이상을 보유한 소수 주주는 상법에 따라 임시주주총회 소집을 요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회사가 정당한 소수 주주의 소집 요구를 거부할 경우, 해당 주주는 법원에 소집 허가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법원은 주주의 소집 허가 신청이 권리남용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심리하며, 객관적으로 소집의 실익이 없거나 회사에 명백히 유해한 경우가 아니라면 소집을 허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회사 경영진은 소수 주주의 정당한 권리 행사를 존중하고 법적 절차에 따라 대응해야 합니다. 주주총회 소집 목적이 불분명하거나 불법적인 목적일 경우 법원에서 허가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광주지방법원목포지원 2021
서울고등법원 2020
부산지방법원동부지원 2022
인천지방법원부천지원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