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약금
원고 A는 모친 C와 양식장을 운영하던 중 수온 상승으로 광어 양식이 어려워지자, 피고 B에게 자신의 비용 부담으로 광어를 양식한 후 판매해 달라고 위탁했습니다. 또한 원고 양식장이 비게 되자 피고는 G과 강도다리 양식 동업계약을 맺었고, 원고는 그 양식장에서 강도다리를 양식하며 피고의 순수익을 받기로 했습니다. 이후 원고는 피고가 광어 및 사료 대금을 편취했다며 불법행위에 따른 손해배상 또는 위탁매매 대금 지급을 청구하고, 별도로 대여금 반환을 요구했습니다. 피고는 대금을 이미 변제했거나 양식 관련 필요비와 상계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맞섰습니다. 법원은 불법행위 주장을 기각하고, 위탁매매를 민법상 위임계약으로 판단하여 피고가 자인한 광어 판매대금에서 피고의 필요비용을 공제한 금액과 인정된 대여금의 잔액을 합하여 원고에게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원고 A는 자신의 양식장에서 광어를 양식하기 어려워지자 피고 B에게 비용을 부담하고 광어를 양식하여 판매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피고는 향후 원고의 투자를 기대하고 이를 승낙하여 2018년 7월경부터 2019년 11월경까지 원고의 광어를 양식하고 판매했습니다. 또한 원고 양식장이 비어있게 되자 피고는 2019년 5월경 G과 강도다리 양식 동업계약을 체결하고, 원고는 이 양식장에서 강도다리를 양식하며 피고의 순수익을 지급받기로 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광어 판매대금의 정산 문제와 원고가 피고에게 빌려준 돈에 대한 반환 문제가 발생하여 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원고는 피고가 광어 및 사료 대금을 편취했다고 주장하며 사기 혐의로 고소했으나 혐의없음 처분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후 광어 판매대금과 대여금 반환을 둘러싼 민사 소송으로 이어졌습니다.
피고의 광어 판매대금 미지급 행위가 불법행위(사기)에 해당하는지 여부, 원고와 피고 간 광어 양식 및 판매 관계가 상법상 위탁매매인지 민법상 위임계약인지 여부, 피고가 원고에게 지급해야 할 광어 판매대금의 정확한 액수 산정(피고의 변제 및 상계 주장 인정 여부 포함), 원고가 피고에게 대여했다고 주장하는 금원의 정확한 액수 및 피고의 변제 주장 인정 여부.
법원은 원고의 청구 중 일부를 인정하여 피고가 원고에게 60,375,900원 및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하였으며, 원고의 나머지 청구는 기각했습니다. 소송비용은 원고가 1/3, 피고가 나머지를 부담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