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 · 기타 금전문제 · 노동
주식회사 A는 비파괴검사 용역업체로 B 주식회사와 군수물자 비파괴검사 계약을 맺고 용역을 수행했으나 비파괴검사법에 따른 등록을 하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B는 A의 미등록 용역으로 인해 품질경영체제 인증이 취소되고 재검사 비용 등 손해를 입었다며 손해배상을 청구하고 A는 미지급 용역대금을 청구했습니다. 법원은 A의 미등록 용역 제공이 채무불이행에 해당하며 B에게 손해를 발생시켰다고 인정했고 A에게 70%의 손해배상 책임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A가 청구한 용역대금은 B의 손해배상 채권과 상계되어 소멸하였고 B가 A의 실질적 운영자로부터 변제받은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손해배상금 12,011,858원을 A가 B에게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B 주식회사는 방위사업청에 군수물자를 납품하기 위해 비파괴검사가 필요했고 이에 A 주식회사에 비파괴검사 용역을 의뢰하여 수행했습니다. 하지만 A는 비파괴검사법상 요구되는 비파괴검사업 등록을 하지 않은 상태로 용역을 제공했습니다. 이후 국방기술품질원이 A가 미등록 업체임을 확인했고 방위사업청은 B의 품질경영체제 인증을 취소했습니다. 이로 인해 B는 납품 물량에 대한 재검사 비용 등 막대한 손해를 입게 되었고 A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동시에 A는 B에게 미지급된 용역대금을 청구하며 소송이 발생했습니다.
미등록 상태에서 비파괴검사 용역을 제공한 것이 계약상 채무불이행에 해당하는지 여부, 채무불이행으로 인해 발생한 손해배상 책임의 범위 및 통상손해와 특별손해의 구분, 계약 당사자 쌍방의 과실을 고려한 손해배상 책임 비율 (과실상계), 비파괴검사 미등록 업체가 이미 지급받은 용역대금이 부당이득에 해당하는지 여부입니다.
법원은 원고(A)가 피고(B)에게 12,011,858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원고의 용역대금 청구(95,586,856원)는 피고의 손해배상 채권과 상계되어 기각되었습니다. 피고의 손해배상 청구 중 소송비용과 부당이득 반환 청구는 기각되었습니다.
법원은 비파괴검사 용역업체인 A가 법적 등록 요건을 갖추지 않은 채 용역을 제공한 것을 계약상 부수적 의무의 불완전 이행으로 보아 B에게 손해배상 책임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다만 B에게도 계약 체결 시 A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지 않은 과실이 인정되어 A의 손해배상 책임은 총 손해액 825,932,835원의 70%인 578,152,984원으로 제한되었습니다. 이 금액에서 A의 미지급 용역대금과 D이 B에게 지급한 손해배상금을 공제한 최종 금액 12,011,858원을 A가 B에게 지급하라는 결론이 내려졌습니다. 이는 전문 서비스 제공 업체가 법적 의무를 다하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계약상 책임과 손해배상 범위 그리고 양측의 과실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판결입니다.
비파괴검사법 (Non-Destructive Testing Promotion and Management Act): 비파괴검사를 업으로 하려는 자는 등록기준을 갖추어 등록해야 하며 미등록 상태에서 용역을 수행하는 것은 법규 위반입니다. 법원은 이 규정이 비파괴검사업체의 계약상 부수적 의무라고 보았습니다. 민법 제393조 제1항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 - 통상손해):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은 통상의 손해를 한도로 합니다. 법원은 재검사 비용 등을 통상손해로 인정했으나 변호사 선임 비용과 같은 소송비용은 통상손해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민법 제393조 제2항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 - 특별손해): 특별한 사정으로 인한 손해는 채무자가 이를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때에 한하여 배상 책임이 있습니다. 소송비용은 원고가 알거나 알 수 있었다고 볼만한 사정이 없어 특별손해로도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과실상계 (Contributory Negligence):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 책임을 정할 때 채권자에게 과실이 있거나 공평을 기할 필요가 있는 경우 채무자의 책임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법원은 비파괴검사 전문업체인 원고가 등록 의무를 위반한 과실이 용역을 의뢰한 피고가 이를 알지 못한 과실보다 훨씬 중하다고 보아 원고의 책임을 70%로 제한했습니다. 이는 별개 소송에서 피고 직원 D의 불법행위에 대한 피고의 과실 비율(45%)과 다르게 판단될 수 있음을 명확히 했습니다. 부당이득 반환 의무: 법원은 원고가 법률상 원인 없이 이익을 얻었다고 볼 수 없고 계약이 취소되거나 해제된 사정도 없으므로 피고의 부당이득 반환 청구를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미등록 용역이라 할지라도 실제 용역이 제공되었고 계약 효력이 유지되는 한 부당이득은 아니라는 법리를 보여줍니다.
전문 서비스 계약 시 법적 요건 확인 필수: 비파괴검사 등 특수하고 전문적인 분야의 용역을 계약할 때는 상대방 업체가 관련 법령에 따른 등록, 면허, 자격 등 모든 법적 요건을 갖추었는지 사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이는 계약의 부수적 의무 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 책임을 피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계약서에 법적 요건 명시 고려: 중요한 법적 요건이 있다면 이를 계약서에 명확히 명시하여 계약 위반 시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손해배상 범위의 이해: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은 통상 손해를 기준으로 합니다. 소송비용과 같은 특별 손해는 상대방이 이를 알았거나 알 수 있었던 경우에만 인정되므로 모든 손해가 배상받을 수 있다고 단정해서는 안 됩니다. 과실상계의 중요성: 계약 위반 상황에서 자신의 과실이 인정되면 상대방의 책임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특히 전문성이 요구되는 영역에서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측이라 할지라도 상대방의 적법성을 확인하지 않은 과실이 인정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부당이득과 계약의 유효성: 용역 제공이 법적 요건을 완전히 충족하지 못했더라도 실제 용역이 수행되었고 계약 자체의 효력이 무효화되지 않는다면 이미 지급된 용역대금이 법률상 원인 없는 이득으로 간주되어 반환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계약 해지나 취소 사유가 명확하지 않다면 부당이득 청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