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교통범죄 · 행정
경찰관의 차량 이동 요구에 숙취 상태로 운전하게 된 A씨가 음주운전으로 면허취소 처분을 받았으나, 형사사건에서 무죄가 확정되면서 면허취소 처분 또한 취소된 사례입니다. 법원은 경찰의 증거 수집 절차에 하자가 있었음을 인정하여 무죄를 선고했고, 이 형사판결이 확정됨에 따라 운전면허 취소 처분도 위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원고 A는 사건 당일 07:00경 경찰로부터 경찰서 주차장에 주차된 자신의 차를 빼달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원고는 경찰관에게 '숙취가 남아 있어 당장 운전할 수 없으니 나중에 차를 빼주겠다'고 말했지만, 경찰관의 거듭되는 요구에 약간의 숙취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경찰관이 괜찮다고 생각하고 08:30경 차량을 인근 식당 앞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운전했습니다. 차량을 움직이자마자 경찰관이 원고의 차량을 정지시킨 뒤 음주 측정을 요구했고, 혈중알코올농도 0.059%로 음주운전이 적발되어 면허취소 처분을 받았습니다. 원고는 이러한 경찰관의 행위가 함정수사에 해당하며, 음주 단속 및 측정 과정에 중대한 하자가 있으므로 면허취소 처분이 위법하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경찰관의 차량 이동 요구에 따른 음주운전 단속이 적법한 절차에 의해 이루어졌는지 여부 및 형사사건에서의 무죄 판결이 운전면허 취소와 같은 행정처분에 미치는 영향입니다.
법원은 피고(경상남도경찰청장)가 2019년 11월 26일 원고에 대하여 내린 자동차운전면허(제1종 대형) 취소 처분을 취소하고, 소송 비용은 피고가 부담하도록 판결했습니다. 또한, 이 처분의 집행은 항소심 판결 선고 시까지 정지하도록 결정했습니다.
원고 A는 경찰관의 차량 이동 요청으로 인해 발생한 음주운전 혐의에 대해 형사사건에서 무죄를 선고받고 이 판결이 확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음주운전을 이유로 한 자동차운전면허 취소 처분도 최종적으로 취소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경찰관의 직무집행과 음주운전 단속 절차의 적법성, 그리고 형사사건의 판단이 행정처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요한 법리를 다루고 있습니다.
만약 숙취가 남아있어 운전이 어려운 상태라면, 주변의 요청이 있더라도 반드시 운전을 피해야 합니다. 다른 사람의 운전을 요청하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등 안전한 대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일 부득이하게 운전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을 때 경찰관이 개입한다면, 자신의 운전 불가능 상태를 명확히 밝히고 합법적인 다른 해결책을 강구해달라고 요청해야 합니다. 또한, 음주운전으로 인해 면허취소 처분을 받았으나 추후 형사사건에서 무죄 판결을 받는다면,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91조 [별표 28]에 따라 해당 운전면허 행정처분 취소를 요구하고 벌점을 삭제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증거 수집 과정의 적법성 여부는 형사 및 행정 사건의 중요한 쟁점이 될 수 있으니, 경찰관의 단속 과정에서 위법한 부분이 있었다고 판단되면 이를 정확하게 기록하고 법적 대응을 검토해볼 수 있습니다.

의정부지방법원 2023
대전지방법원 2023
서울고등법원 2019
서울행정법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