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폭행/강제추행
피고인 A는 평소 좋아하던 피해자 B에게 사적 만남을 요구하고 스토킹하여 프로그램에서 퇴소된 전력이 있음에도 얼굴을 가리고 피해자 직장 주차장까지 찾아갔습니다. 피해자가 편지 받기를 거부하자 피해자를 1~2초간 강제로 껴안아 추행한 혐의로 기소되어 벌금 5,000,000원에 집행유예 2년 및 보호관찰과 성폭력치료프로그램 이수를 선고받았습니다.
피고인 A는 2018년 3월경 재활 프로그램에서 알게 된 피해자 B를 좋아한다는 마음으로 사적 만남 요구 및 편지 전달 등을 반복하여 프로그램에서 퇴소되었습니다. 이후 피해자가 자신을 계속 거부한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2018년 6월 18일 오전 8시 50분경 피해자의 직장 주차장까지 찾아갔습니다. 피해자가 편지 받기를 거부하자 갑자기 피해자를 1~2초간 껴안는 방법으로 강제추행을 저질렀습니다. 이로 인해 피해자는 엄청난 정신적인 충격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피해자의 의사에 반하여 몸을 껴안은 행위가 강제추행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피고인의 정신 건강 상태 및 재범 위험성이 양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신상정보 등록 및 공개·고지·취업제한 명령 면제 여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피고인에게 벌금 5,000,000원에 처하며 이 벌금을 납부하지 아니하는 경우 100,000원을 1일로 환산한 기간 노역장에 유치한다. 다만 이 판결 확정일로부터 2년간 위 형의 집행을 유예하고 보호관찰을 받을 것과 80시간의 성폭력치료프로그램 이수를 명합니다. 신상정보 등록 의무는 있으나 공개명령, 고지명령 및 취업제한 명령은 면제되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의 강제추행 사실을 인정하고 벌금형의 집행유예를 선고했습니다. 추행의 정도가 아주 중하지 않고 초범인 점은 유리하게 보았으나 이전에도 피해자에게 불안감을 조성한 전력과 피해자가 큰 정신적 충격을 받았음에도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점을 불리하게 고려했습니다. 하지만 피고인의 정신 건강 문제와 가족들의 재범 방지 노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집행유예와 함께 보호관찰 및 치료 프로그램 이수를 명령했습니다.
형법 제298조(강제추행): 폭행 또는 협박으로 사람을 추행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합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이 피해자의 의사에 반하여 갑자기 몸을 껴안은 행위가 '폭행'에 해당하며 피해자의 성적 자유를 침해하는 '추행'으로 인정되어 적용되었습니다. 형법 제62조 제1항(집행유예): 3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의 형을 선고할 경우 일정한 사정을 고려하여 그 형의 집행을 유예할 수 있습니다. 피고인이 초범이고 추행의 정도가 아주 중하지 않은 점 정신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점 등이 참작되어 집행유예가 선고되었습니다. 형법 제62조의2 제1항(보호관찰): 집행유예를 선고하는 경우 보호관찰을 받을 것을 명할 수 있습니다. 피고인이 재범하지 않도록 지도하고 피해자에게 접근하지 못하게 할 필요성이 인정되어 보호관찰이 명해졌습니다.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16조 제2항(재범 방지를 위한 수강명령 등): 성폭력범죄를 범한 자에게 수강명령 또는 성폭력치료프로그램 이수명령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피고인의 재범 방지를 위해 80시간의 성폭력치료프로그램 이수가 명령되었습니다.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42조 제1항(신상정보 등록대상자): 성폭력범죄로 유죄판결이 확정된 자는 신상정보 등록대상자가 됩니다. 피고인의 강제추행죄는 성폭력범죄에 해당하므로 신상정보 등록 의무가 발생합니다.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49조 제1항 단서, 제50조 제1항 단서, 제56조 제1항 단서(공개·고지명령 및 취업제한명령의 면제): 일정한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 신상정보의 공개·고지 또는 아동·청소년 관련기관 취업제한을 면제할 수 있습니다. 피고인의 연령 직업 재범 위험성 범행 동기 불이익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면제가 결정되었습니다.
상대방이 명확히 거부 의사를 밝혔다면 어떤 형태의 신체 접촉이나 따라다니는 행위도 강제추행이나 스토킹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피해자가 싫어하거나 두려워하는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는 것은 경범죄처벌법 위반은 물론 스토킹처벌법 또는 형법상 강제추행죄 등으로 더 중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신적 어려움이 있더라도 범죄 행위에 대한 책임이 면제되지 않으므로 스스로 제어하기 어렵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피해자에게 합의하거나 용서를 구하는 노력이 형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나 강제적인 합의 시도는 오히려 피해자에게 2차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성범죄 유죄 판결이 확정되면 신상정보 등록 대상자가 되어 관할 경찰관서에 신상정보를 제출할 의무가 발생합니다.
인천지방법원 2023
서울남부지방법원 2022
대구지방법원 2023
서울남부지방법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