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민사사건
주식회사 A가 자신들의 휴대전화 케이스 디자인과 포장재를 주식회사 B 등이 모방하여 디자인권 및 영업비밀을 침해했다고 주장하며 손해배상과 침해행위 금지를 청구했으나, 법원은 디자인 유사성이 부족하고 영업비밀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보아 원고의 청구를 모두 기각한 사건입니다.
주식회사 A는 2017년부터 'G', 2018년부터 'H'라는 제품명의 휴대전화 케이스를 생산·판매하며 각각 디자인 등록을 마쳤습니다. 또한, 흰색 플라스틱 테두리 잠금장치를 가진 특정 포장재를 사용했습니다. 한편, 주식회사 B는 원고 회사에서 근무했던 C가 퇴사 후 2019년 5월에 설립한 회사이며, 주식회사 D는 피고 B가 생산한 제품을 유통하는 회사입니다. 원고는 피고 B가 2019년 5월경부터 원고의 'G', 'H' 케이스 및 포장재와 동일한 모방 제품을 생산하고 피고 D이 이를 판매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원고는 피고들이 디자인권을 침해하고, 이 사건 제품들의 생산 기술을 부당하게 취득하여 영업비밀을 침해했다며 1억 원의 손해배상과 함께 침해 행위의 금지 및 모방 제품 폐기를 청구했습니다.
원고의 휴대전화 케이스 및 포장재 디자인에 대한 피고들의 디자인권 침해 여부 및 생산 기술에 대한 영업비밀 침해 여부.
법원은 원고의 피고들에 대한 모든 청구를 기각했으며, 소송 비용은 원고가 부담하도록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피고들이 생산하는 제품이 원고의 디자인 등록 제품과 유사하다고 보기 어렵고, 원고가 주장하는 생산 기술이 부정경쟁방지법상 영업비밀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판단하여 원고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유사한 디자인 침해 분쟁 시에는 자신의 디자인이 공지된 다른 디자인들과 명확히 구별되는 창작성을 가지며, 상대방의 디자인이 중요 부분에서 자신의 디자인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는 점을 구체적인 증거를 통해 입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영업비밀 침해 주장의 경우, 해당 정보가 '공공연히 알려져 있지 않고 독립된 경제적 가치를 가지며 비밀로 관리된' 생산 방법이나 판매 방법 등임을 적극적으로 증명해야 합니다. 단순히 제품 외관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정보나 비밀 관리 노력이 부족한 정보는 영업비밀로 인정받기 어렵습니다.
수원지방법원 2015
서울중앙지방법원 2023
인천지방법원 2024
서울중앙지방법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