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민사사건
원고 A는 이혼 과정에서 전 배우자인 피고 B에게 주식 33,000주를 재산분할로 양도했습니다. 이 주식은 액면분할을 거쳐 470,000주가 되었고, 이 중 일부는 원고의 동생에게 증여되었습니다. 이후 원고와 피고는 자녀 앞에서 주식 270,000주는 원고가, 200,000주는 피고가 갖기로 합의했습니다. 그러나 피고가 주권을 인도하지 않자 원고는 주식 반환을 청구했습니다. 원고는 재산분할의 원인이 가장이혼 또는 통정허위표시로 무효라고 주장하고, 피고가 문자메시지로 주식 보유 권리를 포기했다고 주장하며, 또한 합의서에 따라 270,000주를 반환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은 가장이혼 또는 통정허위표시 주장은 이혼 조정조서의 기판력에 의해 인정되지 않고, 문자메시지만으로는 주식 권리 포기를 인정하기 어렵다고 보았으나, 270,000주에 대한 합의서는 유효하다고 판단하여 피고에게 해당 주권 인도를 명령했습니다.
원고는 2011년 부친 사망으로 주식회사 C의 주식 33,000주를 상속받았습니다. 2016년 5월 12일 원고와 피고는 이혼 조정 절차를 통해 원고가 피고에게 재산분할로 위 주식 33,000주를 양도하기로 합의하였고, 이에 따라 주식은 피고 앞으로 이전되었습니다. 이후 피고는 2017년 12월 26일 주식 중 9,500주를 원고의 동생에게 증여했고, 남은 23,500주는 2018년 초 및 같은 해 8월 7일 액면분할을 거쳐 470,000주가 되었습니다. 2019년 1월 16일, 원고와 피고는 자녀 F이 있는 자리에서 주식 470,000주 중 200,000주는 피고가, 나머지 270,000주는 원고가 갖기로 하는 합의서를 작성했습니다. 같은 해 6월 30일 피고는 원고에게 "주식을 원상 복귀하겠다"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보냈습니다. 하지만 피고가 합의서에 따른 주권을 인도하지 않자 원고는 피고를 상대로 주권 반환 청구 소송을 제기하게 되었습니다.
법원은 피고에게 원고에게 주식회사 C의 주식 270,000주의 주권을 인도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원고가 주장한 나머지 주식 반환 청구는 기각되었습니다.
가사소송법 제59조 제2항 (조정 등의 효력): 가사조정이나 조정을 갈음하는 결정은 재판상 화해와 동일한 효력을 가집니다. 이는 조정조서가 확정판결과 같은 법적 구속력을 가지며, 당사자 사이에는 그 내용에 대한 기판력(이미 판결된 사항은 다시 다툴 수 없는 효력)이 발생한다는 의미입니다. 본 사안에서 이혼 재산분할 조정조서의 유효성을 다투는 원고의 주장이 기판력에 저촉되어 배척된 이유입니다. 즉, 일단 조정이 성립되면 그 조정을 무효로 돌리기는 매우 어렵다는 것입니다. 가사소송법 제49조 (민사조정법의 준용): 가사조정은 가사소송법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민사조정법의 규정을 준용합니다. 이는 가사조정 절차의 운영과 효력에 있어 민사조정의 일반 원칙이 적용됨을 의미합니다. 통정허위표시 (민법 제108조): 상대방과 통정하여 한 허위의 의사표시는 무효로 하지만, 이로 인해 선의의 제3자에게 대항하지 못합니다. 원고는 이혼 재산분할이 채권자로부터의 강제집행을 면하기 위한 가장이혼에 따른 통정허위표시라고 주장했으나, 법원은 조정조서의 기판력으로 인해 이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권리 포기의 법리: 재산권의 포기는 명시적인 의사표시와 함께 법률이 정한 절차나 요건을 갖춰야 효력이 인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주식과 같은 재산권의 경우 단순히 당사자 간의 의사표시만으로는 주주 지위가 상실된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법원은 피고의 문자메시지가 권리 포기로는 부족하다고 판단하며, 중요한 재산권의 포기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함을 보여줍니다. 합의의 법적 효력: 당사자들이 특정 사안에 대해 합의하고 그 내용을 문서로 작성했다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합의는 법적 효력을 가집니다. 본 사안에서 원고와 피고가 작성한 '합의서'는 주식의 소유를 재조정하는 내용이었고, 법원은 이를 유효한 합의로 인정하여 피고에게 합의된 주식 270,000주를 원고에게 인도할 의무가 있다고 보았습니다. 피고가 주장한 비진의의사표시(진심이 아닌 의사표시)는 증거가 없어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이혼 조정조서는 확정판결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지므로, 조정 성립 이후에는 과거의 사정을 들어 조정 내용의 무효를 주장하기 매우 어렵습니다. 조정을 할 때 신중하게 내용을 확인해야 합니다. 재산권 포기와 같은 중요한 의사표시는 명확하고 공식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단순히 문자메시지나 구두 합의만으로는 권리 포기가 인정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주식의 경우 주주 지위 상실에는 법률상 정해진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친밀한 관계라도 재산 관련 중요한 합의는 반드시 명확한 문서를 작성하고 서명하여 증거를 남겨야 합니다. 합의서에는 합의 당사자, 대상 재산, 수량, 인도 시점 등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기재하는 것이 분쟁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주식의 액면분할 등으로 주식 수가 변동될 수 있으므로, 재산분할이나 양도 시점을 기준으로 주식의 정확한 수량과 가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원지방법원안양지원 2022
서울남부지방법원 2007
의정부지방법원고양지원 2021
대구고등법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