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민사사건 · 병역/군법
F그룹 회장의 재산 관리 임원인 피고인 A는 회장의 지시를 받아 다수의 차명계좌를 이용해 수십억 원의 양도소득세를 포탈한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또한 F그룹 계열사인 G 주식회사의 임원인 피고인 B, C, D는 자신들이 관리하는 회사 공사자금 약 33억 원을 회장 일가의 주택 인테리어 등 사적인 공사비로 유용한 혐의(횡령)로 기소되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 A에게 징역 3년에 집행유예 4년, 벌금형의 선고유예를 선고했으며, 피고인 B와 C에게는 각각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을, 피고인 D에게는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습니다. 다만 피고인 A에 대한 지방소득세 포탈 혐의는 당시 법률상 특가법 적용 대상이 아니었고, 지방세 관련 법령에 따른 고발 요건도 충족되지 않아 공소 기각되었습니다.
F그룹 회장 E는 주식 매매로 막대한 양도소득이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실명이 아닌 타인 명의의 증권 계좌(차명계좌)를 수십 개 사용하여 소득을 숨기고 세금을 내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불법적인 차명계좌 관리와 세금 신고 업무는 F그룹 임원인 피고인 A가 총괄했습니다. 한편 F그룹의 계열사인 G 주식회사는 회장 일가의 개인 주택(이 사건 주택)의 인테리어 및 추가 공사를 진행하면서, 그 공사비를 회사가 부담할 이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회사 자금으로 처리했습니다. 당시 G 주식회사의 건축사업본부장인 피고인 D와 현장소장인 피고인 B, C은 이러한 부당한 지시를 받아 회사의 공사자금 약 33억 원을 회장 일가의 주택 공사비로 유용하여 G 회사에 손해를 입혔습니다. 이러한 불법적인 자금 운용 및 세금 포탈 사실이 드러나면서 관계자들이 형사 기소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크게 두 가지 쟁점을 다루었습니다. 첫째, F그룹 회장의 지시를 받아 임원이 다수의 차명계좌를 이용해 양도소득세를 포탈한 행위가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특가법) 위반에 해당하는지 여부입니다. 둘째, F그룹 계열사 임원들이 회사 공사자금을 회장 일가의 사적인 주택 공사비로 유용한 행위가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상의 횡령 또는 업무상횡령에 해당하는지 여부입니다. 또한 지방소득세 포탈 혐의에 대해 특가법 적용 가능성과 소송 절차(고발) 요건 충족 여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들에게 다음과 같은 판결을 내렸습니다.
법원은 F그룹 임원들이 회장 일가의 지시를 받아 조직적으로 조세 포탈 및 회사 자금 횡령을 저질렀음을 인정하고 유죄를 선고했습니다. 다만, 피고인들이 범행을 인정하고 반성하며, 피해액이 변제되고 회사 측이 처벌을 원치 않는 점 등을 고려하여 모두 집행유예를 선고했습니다. 특히 지방소득세 포탈 혐의에 대해서는 당시 법령의 해석상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을 적용할 수 없고, 고발 요건 미충족으로 공소를 기각함으로써 형벌 법규의 엄격한 해석 원칙을 재확인했습니다.
이 사건에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개인이 소득이 발생했을 때 세금을 회피하기 위해 다른 사람의 명의로 재산을 등록하거나 거래하는 것은 명백한 불법 행위입니다. 특히 주식 양도소득세와 같이 거액의 세금을 포탈할 경우,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가중 처벌될 수 있습니다. 기업의 임원이나 직원이 회사 자금을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하거나, 회사에 손해를 끼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은 '횡령' 또는 '업무상횡령'에 해당하여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회사 자금은 반드시 회사의 정당한 사업 목적을 위해서만 사용되어야 하며, 사주의 개인적인 이익을 위해 사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회사의 임직원은 회사의 재산을 관리하는 보관자로서의 책임을 다해야 합니다. 회사에 손해를 끼치는 행위에 가담했더라도, 뒤늦게라도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반성하며, 피해 금액을 회사에 모두 변제한다면 형량 결정에 유리하게 참작될 수 있습니다. 세금 관련 법률은 수시로 개정되므로, 어떤 행위가 처벌 대상이 되는지, 어떤 법률이 적용되는지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