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민사사건
이 사건은 부동산 개발 사업을 진행하던 중 발생한 여러 계약 및 대여금 채무 불이행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한 소송입니다. 원고 A는 배우자 N으로부터 사업 진행 중 발생한 채권을 양도받고, 피고 회사(C 주식회사) 및 피고 F과 부동산 매매 및 대여 약정을 체결하였습니다. 피고들은 이행합의서 및 매매계약서 위조, 피고 F의 권한 없음, 대여금 변제 등을 주장했으나, 법원은 대부분의 주장을 기각하고 피고 C 주식회사에 10억 원과 지연손해금을, 피고 C 주식회사 및 피고 F에게 연대하여 1억 2,238만여 원과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J 주식회사는 2017년 4월경 생활형 숙박시설 신축 및 분양 사업(이 사건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피고 F과 K이 토지 매입 작업을 진행하며 J 명의로 토지를 매수했습니다. 사업 진행이 지지부진하자 L은 2017년 9월 피고 C 주식회사를 설립하고 J가 취득한 사업부지를 C 주식회사 앞으로 이전했습니다. N(원고 A의 배우자)은 J의 감사이자 피고 C 주식회사의 상무로 이 사건 사업에 관여했으며, 피고 회사에 대한 철거공사대금 채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2019년 6월경 J의 채권자들이 사업부지 일부에 부동산 처분금지 가처분을 걸었고, 피고 F은 N에게 N 소유 토지를 담보로 제공하여 가처분을 말소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N은 이에 응하여 자신의 토지를 담보로 제공하여 가처분 등기가 말소되었습니다. 이후 N의 담보제공 토지가 경매될 상황에 처하자, 2019년 10월 15일 자로 N이 손해를 입으면 피고 회사가 배상하겠다는 내용의 '이행합의서'가 N과 피고들 명의로 작성되었습니다. 또한, 2019년 10월 23일 자로 원고 A가 피고들에게 원고 소유의 부동산을 매도하고 1억 2천만 원을 대여한다는 내용의 '부동산 매매계약서'가 원고 A와 피고들 명의로 작성되었습니다. N은 2021년 1월 11일 이행합의서에 따른 피고 회사에 대한 채권을 원고 A에게 양도했습니다. 그러나 피고들은 이행합의서에 따른 배상금 지급 및 매매계약에 따른 대금 지급, 대여금 변제를 이행하지 않았고, 이에 원고 A는 피고들을 상대로 배상금 등 청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은 채권 양도가 소송신탁에 해당하지 않으며, 이행합의서 및 매매계약서가 위조되었다는 피고들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또한, 피고 F이 피고 회사를 대표하여 이행합의서 및 매매계약에 서명할 적법한 권한이 있었다고 판단했습니다. 다만, 매매계약 해제에 따른 위약금 청구는 위약금 약정이 없음을 이유로 기각되었고, 대여금에 대해서는 이자제한법을 적용하여 실제 변제해야 할 원금과 이자를 재산정했습니다. 결과적으로 피고들은 원고에게 이행합의서에 따른 약정금과 대여금 및 그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보았습니다.
수원지방법원성남지원 2020
서울중앙지방법원 2020
서울중앙지방법원 2022
수원지방법원안산지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