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민사사건
원고와 피고가 부친 사망 후 유류분반환청구 소송을 통해 공동으로 소유하게 된 부동산을 분할하기 위해 제기된 소송입니다. 원고는 부동산의 7분의 6 지분을, 피고는 7분의 1 지분을 소유하고 있었으며, 법원은 경매나 일방의 전면적 가격 배상 방식 대신, 특정 부동산은 원고에게, 다른 특정 부동산은 피고에게 단독 소유하게 하고, 각 지분에 상응하는 금액을 서로 지급하여 정산하는 방식으로 분할을 명령했습니다.
원고와 피고의 부친 C이 2017년 8월 28일 사망한 후, 피고가 원고 등을 상대로 유류분반환청구 소송을 제기하여 임의조정이 성립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원고는 피고에게 이 사건 부동산의 7분의 1 지분을 2019년 4월 5일 자로 이전해주었고, 그 결과 원고는 7분의 6 지분, 피고는 7분의 1 지분으로 해당 부동산을 공유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원고가 공동 소유 관계를 해소하기 위해 2019년 8월 24일 공유물분할 소송을 제기하면서 이 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원고와 피고가 공동 소유하고 있는 부동산을 각자의 지분 비율에 따라 어떻게 합리적으로 분할할 것인지 여부입니다. 특히 부동산의 시가 상승 추이와 당사자들의 희망 사항을 고려하여 어떤 분할 방식이 공평한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법원은 원고와 피고가 공동 소유하던 부동산을 특정 부분은 원고가 단독 소유하고, 다른 특정 부분은 피고가 단독 소유하도록 분할하는 대신, 각자의 지분 가치에 맞춰 금액을 정산하도록 판결했습니다. 구체적으로 피고는 원고로부터 366,750,000원을 지급받음과 동시에 부동산 중 순번 제3, 4번에 대한 자신의 7분의 1 지분을 원고에게 이전하고, 원고는 피고로부터 1,584,944,000원을 지급받음과 동시에 부동산 중 순번 제1, 2번에 대한 자신의 7분의 6 지분을 피고에게 이전하도록 했습니다. 소송 비용은 각자가 부담하도록 했습니다.
법원은 이 사건 부동산의 시가 상승 추이와 원고 및 피고 모두 부동산이 타인에게 매각되는 것을 원치 않으며 각자 단독 소유를 희망하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습니다. 이에 경매 방식이나 일방의 전면적 가격 배상 방식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특정 부동산은 원고가 단독으로 소유하고 다른 특정 부동산은 피고가 단독으로 소유하되, 각자의 지분 비율에 따라 금액을 정산하는 방식으로 분할하는 것이 공평하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구체적으로 원고는 순번 제3, 4번 부동산을 단독 소유하며 피고에게 3억 6천6백7십5만 원을 지급하고, 피고는 순번 제1, 2번 부동산을 단독 소유하며 원고에게 15억 8천4백9십4만4천 원을 지급하도록 결정했습니다.
공유물 분할 소송은 법원의 판결로써 공동 소유 관계가 해소되는 법률 관계 형성의 소송입니다. 법원은 공유물 분할 청구자가 제시하는 방법에 구애받지 않고, 공유물의 형태, 위치, 이용 현황, 경제적 가치 등 모든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합리적인 분할 방법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만약 분할 대상이 된 공동 소유 재산의 형태나 경제적 가치가 균등하지 않아 물리적으로 나누기 어려운 경우, 법원은 특정 공유자에게 재산의 특정 부분을 소유하게 하고 다른 공유자에게는 그 지분에 해당하는 금전으로 가치의 부족분을 조정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실질적인 현물 분할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나아가, 대법원 판례(대법원 2004. 10. 14. 선고 2004다30583 판결 등)에 따르면, 공동 소유 관계의 발생 원인, 지분 비율, 분할 후의 경제적 가치, 공유자들의 희망 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특정 공유자 중 한 명이 공동 소유 재산 전체를 단독으로 소유하고 다른 공유자에게는 그 지분에 상응하는 적정하고 합리적인 가격을 배상하도록 하는 방식 또한 현물 분할의 한 방법으로 허용됩니다. 이러한 법리는 공동 소유 재산을 둘러싼 복잡한 이해관계를 조율하고, 공유자 간의 실질적인 공평을 달성하기 위한 유연한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공동으로 소유한 재산을 나누고자 할 때 법원은 청구인이 원하는 방식에 얽매이지 않고, 재산의 형태나 위치, 이용 상황, 경제적 가치 등 여러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합리적이고 공평한 분할 방법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재산의 가치가 지분 비율에 따라 균등하게 나뉘기 어려운 경우, 특정 공유자에게 특정 부분을 소유하게 하고 다른 공유자에게는 금전으로 그 가치를 보상하는 방식도 현물 분할의 하나로 허용됩니다. 공유자 중 한 명이 단독으로 재산 전체를 소유하고 다른 공유자에게 지분 가격을 배상하는 방식 또한 공유자 간의 공평을 해치지 않는다면 가능합니다. 재산의 시가가 변동하는 추세이거나, 당사자들이 재산이 제3자에게 매각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경매 방식보다는 복합적인 현물 분할 및 금전 정산 방식이 선택될 수 있습니다. 공동 소유 재산을 나누는 소송에서는 법원이 감정한 재산의 가액을 기준으로 최종 분할 및 정산 금액이 정해지므로, 감정 결과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중요합니다.
대구지방법원 2023
의정부지방법원고양지원 2023
서울북부지방법원 2023
수원지방법원 2022